“국내 양봉산업 보호 대책 만들어야”

[한국농어민신문 백종운 기자] 

1997년 농업인후계자 선정 
벌통 150~200개 규모로 발전
연간 소득 8000만 원 달해

이상기후로 꿀벌 폐사 ‘역대급’
밀원확대·수입꿀과 차별화 등 
중앙정부 차원 투자·연구 절실

춘천에서 30년 이상 양봉업에 종사하는 김덕만씨는 무관세 꿀 수입에 대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벌 연구와 투자를 늘려 국내 양봉산업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춘천에서 30년 이상 양봉업에 종사하는 김덕만씨는 무관세 꿀 수입에 대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벌 연구와 투자를 늘려 국내 양봉산업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강원도 춘천시 서면에서 양봉농사를 하는 김덕만(59세)씨는 11월 18일 나무벌통 뚜껑을 열어보고 표정이 어두워졌다. 벌들의 겨울나기 작업을 하려고 뚜껑을 열었지만 벌통 안에는 예상했던 것보다 벌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30년 이상 양봉업을 하면서 올해처럼 벌들이 많이 폐사한 것은 처음이라며 기후변화로 기온이 급상승하고 이상 기상이 자주 발생한 것이 원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특별한 농지나 농업기반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지 못한 김씨는 학교 졸업 후 이것저것 해봤지만 자신의 적성을 찾지 못했다. 우연히 양봉농가를 보고 몇 번 관심을 갖고 설명을 들었는데 자신의 평생 업으로 맞는 것 같아 본격적으로 양봉농사를 시작했다. 1997년 양봉업으로 농업인후계자로 선정되어 2000만원의 자금을 받아 벌통 150∼200개 규모의 양봉농사로 발전시켰다.

김씨는 “일반적으로 벌통 하나에 1년에 2만5000마리 정도가 작업을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자신이 관리했던 벌의 숫자는 아마도 1억5000마리가 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들어 벌들이 사라지고 양봉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김씨에게 벌들은 평생의 동반자고 자신이 살아가는 기반이었다. 지금의 부인도 이동 양봉을 하면서 인연이 되어 만나서 평생의 동반자가 되었으며 3명의 자식들도 양봉업으로 키우고 공부시켰다.

현재 벌통 200개 정도를 관리하는 김씨의 연간 소득은 8000만 원 정도이며, 벌꿀 생산량은 30드럼 정도가 평년작이다. 생산한 벌꿀 대부분은 양봉조합과 대량소비처로 넘기며 일부는 2.4kg들이 포장으로 가공해 5만 원에 판매하며 연간 50g들이 로얄제리 800개 정도를 생산해 개당 3만원에 판매하는 것이 주 수입원이다.

김씨의 1년 농사주기는 2월말 경에 벌들을 겨울잠에서 깨워 활동성을 높이고 5월에는 남쪽으로 이동해 30일정도 일정으로 춘천까지 올라오면서 아카시아 꿀을 채취한다. 이때 대부분 동반해주는 부인에게는 미안하고 고맙다고 말했다. 이렇게 꿀을 채취하다 9월말경이며 벌들의 일상을 관리해주고 11월 20일경이면 겨울잠 채비를 끝으로 1년 농사를 마무리한다.

현재 한농연춘천시연합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지만 연합회 사정으로 회장직무대행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회장 역할을 하고 있다. 한농연춘천시연합회 부회장 등 거의 20년 정도를 연합회 임원으로 활동했다.

양봉농협 대의원과 서춘천농협 대의원으로 활동하는 등 농협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며 조합원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 의용소방대와 자율방법대는 지금도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또 지역인 서면 월송3리 이장으로 2012년부터 6년 동안 활동하면서 동네 비포장도로 20km 이상을 포장하고 정비했으며 마을회관을 고치고 어르신들 보금자리인 회관도 정비하는 등 농촌복지 증진에도 기여했다. 이 같은 봉사활동을 인정받아 2016년에는 춘천시장으로부터 우수농업인 상을 받았고 소방서장상도 같이 받았다.

김씨는 요즘 고민이 많다.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이 본격적으로 발효되면 무제한으로 무관세로 꿀이 들어오면 우리나라 양봉산업은 필연적으로 타격을 입게 되고 자신의 삶에도 상당한 충격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나 양봉산업은 단순하게 꿀 생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식물의 수정을 돕는 등 식량생산 생태계의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양봉산업이 무너지면 식량자급에도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김덕만씨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벌에 대한 연구와 투자를 늘리고 취약한 국내 양봉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한다”며 “우선적으로 밀원을 확대하고 수입꿀과 우리꿀의 차별화를 통한 소비자 보호에도 신경을 써야한다”고 지적했다.

춘천=백종운 기자 baekjw@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