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구사에서 맞을 지리산 풍경을 기대하며

[한국농어민신문] 

등구사 삼층석탑. 정면 하봉에서 오른쪽으로 중봉, 천왕봉으로 이어지는 지리산 주능선과 산자락이 가깝게 보이나, 운무에 가려 왼쪽 하봉의 모습만 희미하게 보인다. 사진 오른쪽 중앙에 있는 봉우리는 함양군 마천면의 창암산이다.
등구사 삼층석탑. 정면 하봉에서 오른쪽으로 중봉, 천왕봉으로 이어지는 지리산 주능선과 산자락이 가깝게 보이나, 운무에 가려 왼쪽 하봉의 모습만 희미하게 보인다. 사진 오른쪽 중앙에 있는 봉우리는 함양군 마천면의 창암산이다.

1489년(성종20) 4월 14일(음력), 탁영 김일손(1464~1498)은 함양 읍내를 출발하여 14박 15일에 걸친 지리산 유람 대장정에 나섰다. 몇 년 동안 그가 마음에 두고 있던 이 유람에는 함양 출신의 도학자인 일두 정여창(1450~1504)도 동행하였다.


“14일(임인일). 드디어 천령(함양)의 남쪽 성곽 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쪽으로 10리 쯤 가서 시내 하나를 건너 객사에 이르렀는데, 제한蹄閑이라고 하였다. 제한에서 서남쪽으로 가서 산등성이를 10리 쯤 오르내렸다. 양쪽으로 산이 마주하고 있고 그 가운데 한줄기 샘이 흐르는 곳이 있었는데, 점점 들어갈수록 아름다운 광경이었다. 몇 리를 가서 한 고개를 올랐다. 하인(從者)이 말하기를, ‘말에서 내려 절을 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내가 누구에게 절을 하느냐고 묻자 그가 답하기를, ‘천왕天王입니다.’라고 하였다. (중략) 이 날 비가 퍼붓듯이 내렸고 안개가 온 산을 휘감고 있었다. 말에 몸을 맡겨(信馬) 등구사에 이르렀다. 솟아 오른 산의 형상이 거북과 같은데, 절이 그 등에 올라앉아 있는 것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략) 절집 위 동서쪽으로 두 건물이 있었다. 일행은 모두 동쪽 건물에 묵기로 하고 하인들을 가려서 돌려보냈다.”


위의 글은 탁영의 「두류기행록」에 나오는 내용으로, 함양 읍내를 출발하여 지리산 유람에 나서는 첫 장면이다. 여기서 ‘제한’이라는 곳은 예전 함양-인월-남원을 잇는 대로大路(통영별로) 상에 있었던 역원驛院으로, 오늘날의 함양 구룡리 조동마을에 있었다. 현재 이곳에서 산자락으로 나있는 도로 ‘지리산 가는 길’을 따라 오르면 지안재를 지나고, 또 다시 한 차례 가파른 오르막이 끝나는 곳에 오도재가 있다. 이 고갯마루에서는 천왕봉을 중심으로 장쾌하게 펼쳐지는 지리산 주능선을 마주하게 된다.

위의 글에서 하인이 탁영에게 절을 하라고 한 것은 지리산 유람을 무사하게 잘 하게 해달라고 빌며 지리산 산신에게 예를 올리라는 의미였을 것이다. 그리고 『신동국여지승람』 함양군 불우조에는 “등구사, 오도봉에 있다”라고 나오는데, 지금의 오도재-등구사로 이어지는 지명과 동선이 일치되는 것이 확인된다.

그런데 현재 오도재라는 고개 이름의 유래에 대해 대부분 ‘청매인오대사가 이 고개를 오고가며 깨우침을 얻어 그렇게 부르게 되었다’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역사적 사실과 조금 거리가 있어 보인다. 청매대사는 17세기 초반 도솔암, 영원암 등 함양 마천면의 절집에 주석하였던 인물이고, 이 고개를 지나며 득도를 하였을지는 몰라도 오도재라는 이름은 훨씬 그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위의 인용문에서처럼 탁영이 머물게 되면서 15세기 후반 등구사에는 동서로 절집 건물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함양 출신으로 탁영과 같은 점필재의 문인인 뇌계 유호인(1445~1494)은 지리산의 절집 곳곳에서 독서를 하였는데, 등구사에 대한 더욱 자세한 모습을 전하고 있다. 뇌계는 ‘등구사 탄이당坦夷堂에서 우연히 시 세 편을 얻다’라는 시에서 당시 등구사에는 금당, 옥실, 탄이당이라는 건물이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절집의 내력을 전하고 있는 『등구사 사적』에는 ‘1708년 안국사가 화재로 불타버렸을 때,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이르는 시기에 불이 나 빈터로 남아 있던 등구사 절터에 새로 절집을 중창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렇듯 사적기에 비워져있는 조선전기 등구사의 모습이 15세기에 활동했던 두 지식인의 글에서 역사로 채워지고 있는 것이다.


“밤새도록 내린 비가 아침나절이 다하도록 그치질 않았다. 그런데 한 승려가 문득 ‘비가 개어 두류산이 보인다.’고 알려주었다. 우리 세 사람이 화들짝 일어나 졸린 눈을 비비고 내다보니, 푸른 세 봉우리가 문 앞에 우뚝 솟아 있었다. 흰 구름이 가로지른 듯이 감싸고 있어 검푸른 봉우리만 은은히 드러날 따름이었다. (중략) 이 날 밤에 다시 개어 달빛이 환하게 비추자 푸른 산의 모습이 전부 드러났다. 굽이굽이 뻗은 골짜기에는 선인仙人과 우객羽客이 와서 너울너울 춤을 추고 있는 듯하였다.”


비 때문에 등구사에서 하루를 더 머물게 된 탁영이 둘째 날인 비 개인 보름날 밤에, 지리산 천왕봉, 중봉, 하봉 등의 봉우리와 산자락을 바라보며 남긴 글이다. 필자도 그 모습을 눈에 그리며 1월에만 두 차례 등구사를 찾았지만, 꽉 막힌 시계에 지리산은 겨우 눈짐작만 하고 와야만 했다. 언젠가 이곳에서 탁영처럼 가슴 설레며 지리산의 풍경을 맞이하게 될 날을 기대해본다.

조용섭/협동조합 지리산권 마실 이사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