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네덜란드 등 현장 취재
국내 사례 찾아 가능성 점검


소, 돼지, 닭 등 축산업을 빼고 농업을 거론할 수 없다. 농림축산업 생산액에서 축산의 비중이 2006년 32%에서 2016년에는 38.6%로 높아지며 농촌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우유, 치즈, 육가공품 등 소비자들의 식탁에는 그 어느 한 끼 축산물이 빠지지 않고 올라온다. 식량안보 측면에서 축산물의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면에서는 축산환경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연간 4700만톤에 달하는 가축분뇨와 이로 인한 악취 때문이다. 퇴·액비화 처리비율이 90%를 넘지만 악취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고 농촌 공간에서 갈등의 불씨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가축분뇨 악취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퇴·액비와 바이오매스 등 자원화를 통해 지역 내 갈등을 풀어나가는 방향 설정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본보는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특별기획 '지역사회 화합과 공존, 가축분뇨 재생에너지' 연재를 시작한다. 가축분뇨 악취문제 해소 방안과 재생에너지화로의 가능성을 엿보기 위해 독일·네덜란드와 국내의 우수 현장을 취재했다.  

이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앞서 있는 독일의 경우 가축분뇨와 농산부산물 등 유기성자원을 활용한 바이오매스로 에너지 독립을 이룩한 마을이 전혀 생소하지 않다.

독일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도 2016년 기준 29.3%에 달한다. 또한 재생에너지법을 근거해 2050년까지 전력 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 총량의 80%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분야로 하는 목표를 세웠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축협은 물론 축산농가 등을 중심으로 가축분뇨 바이오매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논산계룡축협 자연순환센터 등의 운영사례를 통해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가축분뇨 자원화 관계자 및 관련 전문가들은 “가축분뇨는 페기물이 아닌 앞으로 지속적으로 나오는 양분이자 에너지 자원”이라며 “혐기소화 퇴·액비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발전과 운영을 통한 부가가치를 인근지역 주민들과 공유하는 체계가 바로 가축분뇨 문제의 해법”이라고 입을 모아 강조한다.

이병성 기자 leebs@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