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건강 취약한 여성농업인, 제 때 치료받을 수 있게 해야”

[한국농어민신문 안형준 기자] 

강은주 한여농제주도연합회 회장은 임기 중에 여성농업인 건강바우처 도입과 드론 사용료 보조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강은주 한여농제주도연합회 회장은 임기 중에 여성농업인 건강바우처 도입과 드론 사용료 보조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여성농업인 건강바우처 도입
정형외과·한의원 등 사용토록
건강 증진·직업만족도 제고

고령화 심한 농촌 일손 달려
드론 사용료 일부 정부 지원
농사 계속 짓도록 뒷받침을

“지금 농촌은 고령화와 일손부족으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여성농업인들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몸이 아파도 제 때 치료받지 못하고 농사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정부가 나서서 여성농업인들이 지속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펼쳐야 할 때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에서 미니단호박과 메밀 등을 농사짓고 있는 강은주 한여농제주도연합회 회장은 오뚜기 같은 농업인이다. 그는 1987년에 육우 사육으로 농사를 시작했다. 마릿수를 늘려가며 성공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던 중 IMF 때 큰 타격을 입었다. 사료값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소 가격은 곤두박질쳤다. 여기에 더해 소 브루셀라병까지 돌아 하는 수 없이 육우 농장을 정리했다. 이후 지인에게 땅을 빌려 콩 농사를 시작했지만 가을장마로 콩이 다 썩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에도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농사에 도전하며 지금까지 농사를 이어오고 있다.

강 회장은 한여농 조직이 정식 출범되고 나서부터 활동했다. 그는 제주시연합회 회장과 제주도연합회 수석부회장을 거쳐 올해 제주도연합회 회장에 취임했다. 그가 한여농 활동을 하면서 가장 뿌듯했던 일은 여러 농민집회 때 회원들과 함께 목소리를 냈던 것이다. 단 몇 시간 동안 진행되는 집회일지라도 굵은 사안 때마다 회원들과 비행기를 타고 서울로 올라가 집회에 참여했다. 서울뿐만 아니라 제주도에서 지역의 농업 관련 문제 해결을 촉구하거나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집회에 함께 참여하는 일을 지금도 이어나가고 있다.

강은주 회장은 임기 중에 반드시 이루고 싶은 건 크게 두 가지다. 그 중 첫 번째는 여성농업인 건강바우처 도입이다. 장시간 쪼그려 일하거나 허리를 굽혀서 일하는 여성농업인은 관절 건강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몸이 아파도 인건비나 농사 완성도를 생각하면 제 때 치료를 받거나 마음 편히 쉴 수 없는 환경이다. 게다가 병원을 한 번 다녀오기 위해선 교통 환경이 열악한 농촌 특성 상 많은 시간을 허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에 준하는 비용의 여성농업인 건강바우처 제도 도입을 지자체에 제안할 계획이다. 여성농업인에게 일정금액이 충전된 여성농업인 건강바우처 카드를 제공하고, 시도에 있는 정형외과나 한의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입 시 여성농업인의 건강을 지키고, 직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강 회장의 설명이다.

강 회장은 “나도 농약을 살포하다 줄에 발이 걸려 넘어져 손목에 철심을 박고 농사일을 하며 병원을 다니는 일이 있었다”라며 “그때 든 생각이 여성농업인에게 많은 금액은 아니지만 의료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제도가 있다면 심적·금전적 부담이 줄어들고 직업적 자부심과 만족도가 높아 질 수 있겠다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드론 사용료 지원 사업 도입이다. 강은주 회장에 따르면 현재 농촌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돼 70~80대 연령층이 주를 이룬다. 그 중에서도 여성농업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고령과 여성의 몸으로 농약을 살포하는 건 매우 벅찬 일이다. 게다가 산간지방의 경우 경사가 있어 농약을 살포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요즘 드론을 활용한 농약 살포가 늘어나고 있는데 드론 살포 비용 일부분을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보조해주는 정책이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드론 사용료의 일부를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보조를 해준다면 드론 이용률이 높아질 것이고, 여성농업인의 부상도 줄고 삶의 질이 조금이나마 개선될 것이다”라며 “정부와 지자체가 말로만 농업·농촌이 위기라고 하지 말고, 여성농업인들이 지속적으로 농촌을 가꾸고 농업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현실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안형준 기자 ahnhj@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