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 기자] 

2024년 농업기자재 산업은 힘겨운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정부의 농업기자재 정책에 대해 불만족한 비율이 높게 나타나 정책의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농어민신문이 2024년 농업기자재 시장을 전망하고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을 마련하기 위해 농업기자재 기업 임원을 대상으로 한 ‘2024 농산업 전망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2023년 12월 18일부터 2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에는 총 117개 기업의 임원들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기업은 농기계 15개사(12.8%), 작물보호제 14개사(12.0%), 무기질비료 7개사(6.0%), 유기질비료 17개사(14.5%), 종자 48개사(41.0%), 스마트팜(시설원예) 기자재 16개사(13.7%) 등이다. 

수출은 지난해 수준 전망
스마트농업 사업 준비 움직임
정부 제품 보조 지원 주문도


농기계업체들(15곳)의 지난해 경영 실적은 2022년도 보다 ‘다소 하락’(5명·33.3%), ‘매우 하락’(5명·33.3%)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설문에 응답한 농산업 기업들 중에서 ‘하락했다’고 응답한 비중이 37.6%인 점을 감안하면 농기계업체들의 경영이 상대적으로 어려웠던 한 해로 기억될 전망이다. 실적이 ‘다소 성장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6.7%(1명)에 그쳤고 ‘전년과 비슷하다’는 답변은 26.7%(4명)로 나타났다.

농기계업체들은 2024년도 전망을 더욱 어둡게 내다봤다. 2024년도 국내 농업기자재 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 ‘다소 악화’ 60%(9명), ‘매우 악화’ 13.3%(2명) 등 응답자의 73.3%가 부정적으로 답변했다. ‘다소 성장’할 것이라는 긍정 답변은 1명(6.7%)에 불과했고 ‘전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은 20%(3명)로 집계됐다.
 

2024년 시장 전망(왼쪽)과 정부 정책 만족도
2024년 시장 전망(왼쪽)과 정부 정책 만족도

이 같은 답변은 농기계업체들의 2024년 사업 전망에도 고스란히 담겼다. 부정적일 것이라는 답변(‘다소 악화’ 5명·33.3%, ‘매우 악화’ 4명·26.7%)이 60%에 달한 반면 긍정적 답변은 6.7%(1명·‘다소 성장’)에 그쳤다. ‘전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답변은 33.3%(5명)으로 조사됐다.

농기계업체들은 올해 기업 경영에 영향을 줄 요인으로 ‘국내 농가 경제’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60%(9명)가 선택했다. 농가 경영 안정과 농기계 구입의 연관성이 높아 이 같은 응답이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정책’(4명·26.7%)과 ‘원자재 가격 상승’(1명·6.7%), ‘환율 변동’(1명·6.7%)이 뒤를 이었다.

국내 사업 성장을 위한 최우선 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신기술 개발 확대’(5명·33.3%)와 ‘가격 경쟁력 확보’(4명·26.7%), ‘신제품·신모델 런칭’(3명·20%)이 고르게 나왔다. 올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농기계업체들이 중점을 둘 분야로는 ‘혁신·연구 개발’(4명·26.7%), ‘전문 인력 확충’(4명·26.7%), ‘조직 역량 강화’(3명·20.0%), ‘사후서비스 강화’(3명·20.0%) 등 모든 항목에서 답변이 고르게 나왔다.

올해 농기계 수출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응답자 중 46.7%(7명)가 ‘전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변한 가운데 긍정적 답변(‘다소 성장’ 4명·26.7%)과 부정적 답변(‘다소 하락’ 3명·20%, ‘매우 하락’ 1명·6.7%)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수출 확대를 위한 최우선 대책으로 업체들은 ‘신규 수출 시장 개척’(4명·26.7%)과 ‘주력 수출국 현지 판매망 확대’(4명·26.7%)를 선택했다.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을 선택하라는 질문에 업체들은 ‘해외 농업 개발 및 ODA 연계 농기자재 수출’(4명·26.7%)과 ‘지역별 맞춤형 수출 정보 제공’(4명·26.7%)을 요구했다.

정부 정책의 만족도에 대해 농기계업체들은 부정적인 답변(‘다소 불만족’ 5명·33.3%, ‘매우 불만족’ 3명·20%)이 과반을 넘었고 긍정적인 답변은 없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46.7%(7명)으로 확인됐다. 소속 업종의 발전을 위해 강화되길 바라는 정부 정책을 묻자 농기계업체들은 ‘제품 구매 보조 지원’(5명·33.3%)과 불필요한 규제 개선(4명·26.7%)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스마트농업 관련 사업 여부를 묻는 질문에 ‘스마트농업 관련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46.7%(7명)로 가장 많았고 이미 ‘스마트농업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답변도 33.3%(5명)에 달했다. ‘스마트농업 관련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율은 20%(3명)에 불과했다.

스마트농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중점 지원해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에 업체들은 ‘스마트농업 관련 데이터 공개’(5명·33.3%)를 가장 많이 요구했다. 뒤를 이어 ‘스마트농업 관련 R&D 지원’과 ‘일부 품목에 집중된 스마트팜의 지원 대상 품목 확대’, ‘스마트농업 시설·시스템 또는 생산품목의 수출 지원’(이상 각 3명·20%)을 선택했다.

이현우 기자 leehw@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