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그대로 ‘우여곡절’의 연속이었다.

‘제4차 여성농업인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정책연구 확정이 늦어지더니, 연구용역 입찰이 2차례나 유찰됐다. 당초 ‘5월말’에는 시작할 수 있다던 농식품부의 호언장담은 ‘6월말’로 바뀌었고, 결국 ‘7월말’이 다 돼서야 정책연구가 시작됐다.

이번 정책연구는 여성농업인육성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여성농업인육성 기본계획’의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정책목표와 과제, 추진체계 등 제4차 기본계획의 골자가 이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다. 제4차 기본계획 자체가 졸속으로 수립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농식품부가 정책연구 확정부터 연구자 선정까지 3개월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을 허비하면서, 향후 5년간의 기본계획은 불과 4개월 남짓한 시간에 수립돼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물론 농식품부의 설명대로 별다른 문제없이 기본계획을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짧은 연구기간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기본계획이 나올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농식품부의 늑장대응이 면죄부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제는 아무리 좋은 기본계획이 나오더라도 ‘좀 더 잘 만들 수 있었는데’라는 아쉬움을 떨쳐버릴 수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위안거리는 제2, 3차 기본계획 수립연구에 참여한 오미란 지역재단 이사와 박민선 농협대 대외협력실장은 물론, 2013년 여성농업인실태조사를 지휘한 정은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등 내로라하는 여성농업인 연구자들이 ‘팀’을 꾸려 정책연구에 함께 한다는 점이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농식품부는 이제라도 여성농업인 육성에 관심을 갖고, 현장과의 소통을 통해 지난 과오를 반복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기노 기자 leek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