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협회·손숙미 의원 R&D투자 늘려 소재 개발 등 추진 시급

건강기능식품업계의 눈을 국내에서 해외로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7일 국회에서 열린 건강기능식품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 정책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은 글로벌 결쟁력 강화를 위한 의견 등을 제시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이같은 성장엔 수입증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타계하기 위해 국내 업계도 해외에 눈을 돌리고, 이를 위한 R&D투자 등의 발전방안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손숙미 한나라당(비례) 의원실과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가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건강기능식품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방안 정책심포지엄’에선 국내 건강기능식품산업의 세계화를 위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이날 ‘건강기능식품의 글로벌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필요성’을 주제 발표한 이정민 경희대 교수는 “2009년도 건강기능식품 전체시장 규모가 전년대비 10% 증가했지만 이는 수입제품의 성장세가 20% 증가했기 때문이 크다”며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를 봐도 이웃 일본이 20.9%를 점유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3.8% 점유에 그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 교수는 해외 진출이 필수적이라는 의견과 함께 R&D투자규모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정민 교수는 “우리 정부의 기능성식품 연구투자액은 연 4000만달러로, 국내총생산 대비 0.004%에 그치고 있다”며 “경제규모가 비슷한 캐나다의 경우 GDP 대비 0.02%의 연구투자가 진행되는 등 외국과 비교하면 너무나 낮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내 건강기능식품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소재개발이 우선돼야 한다”며 “기존 소재의 기능성은 재평가하고 신소재를 개발하는 가운데 해외 소재는 국내화하는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 그는 “R&D GMC(세계화운영기구)가 설치돼 이 같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특허분석, 국가 간 법령분석, 통계자료 수립 등의 업무도 맡아야 한다”고 밝혔다.

주제발표에 이어 가진 토론회 자리에서 홍진태 충북대 교수도 “국내 건강기능식품산업이 세계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선 R&D 투자가 확대돼야 한다”며 “특히 국내 연구개발비를 증액시켜 수익창출 모델을 제시할 수 있게 하고 대상질환별 고령화, 난치성 질환 중심의 보조건강기능식품 개발, 국내 원천특허 가능 원료 소재 확대 등의 연구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욱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