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낙농관련 생산자단체들을 중심으로 ‘낙농자조금 조성’을 위한 준비작업이 적극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유가공업체들이 이에 대한 참여여부를 놓고 갈등을 드러내는 등 딜레마에 빠져있어 대책이 요구된다.한국낙농육우협회를 비롯한 생산자단체들은 최근 우유소비부진 등 낙농산업 불황으로 정부가 원유가인하방안을 거론하자, 이를 유보시킬 수 있는 대안이면서 자구대책으로 낙농자조금을 조성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낙농육우협회에 따르면 자조금조성은 집유농가 전원에 대해 원유 kg당 5원씩 3개월간(6회) 집유단계에서 징수하고 이를 통해 유업체와 정부의 동참을 유도, 총 70억원정도의 자금을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유가공업체들에게는 낙농가수준인 약 23억원을 조성토록 유도할 방침이다.이에 대해 유업체들은 일단 낙농자조금 자체는 찬성하면서도 자금조성과정에 반대하는 쪽이다. 유업체측은 “낙농산업 전반에 걸친 공동관심사업이라고는 하나 우유소비시장 점유율이 높은 몇몇 유업체에게만 좋은 일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유업체들에게 동일한 찬조요청은 잘못됐다”고 주장한다.더욱이 각 브랜드의 특성을 홍보하면서 경쟁하는게 현추세이기 때문에 적극성을 갖고 참여하는 업체가 얼마나 되겠느냐는 반문이다.실제 유업체들은 최근 관련업체끼리 자금을 공동출자해 공동우유캠페인과TV홍보를 벌어나가자고 논의는 하고 있으나 유제품 소비율이 높은 몇몇 업체를 제외하고는 공동홍보를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물론 이들 유업체들은 납유농가들이 자조금조성에 전원 참석할 경우에 어쩔 수 없이 동참하게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일선 낙농가들의참여에도 불구하고 자조금을 내지 않는다는 것은 우유소비촉진 공동활동 등에 무임승차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축산물가공업무일원화로 유업체에게 농림부의 행정력이 미치면서 그만큼 구속력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업체들의 찬조반대 주장은 무뎌진다는 얘기다.그러나 낙농자조금의 성공비결은 낙농관계자들이 모두 참가해야한다는 것이 전제조건인 만큼 불참선언하는 낙농가나 유업체가 하나라도 발생할 경우자조금조성은 실패하게 된다. 이와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자조금조성이성공하려면 업체들의 자율적인 이미지관리나 사업경영을 이유로 공익사업참여를 거절할 경우를 고려, 생산자·유업체 공동협의하에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낙농가와 각 유업체간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유영선 기자>발행일 : 98년 5월 28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