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6년 대형 식중독 사고로 초래된 학교급식 직영전환이 서울시 일부 학교의 반대로 논란을 빚고 있다. 당시 학교급식법 개정을 통해 내년까지 모든 학교들은 위탁급식을 직영급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전국 초·중·고 1만1106개 학교 중 위탁급식이 이뤄지는 1279개교(전체의 11.5%)가 해당된다.

그런데 유달리 서울지역 학교들이 문제다. 전국적으로 88.5%가 직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데 서울지역은 50.7%로 낮다. 중학교가 13.7%, 고등학교는 10.2% 수준에 머물러 있다. 왜 이렇게 서울지역 학교들의 학교급식 직영비율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대다수 학교들은 예산이 적고 급식행정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 등을 내걸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몇 몇 학교장이 위탁급식업체로부터 해외여행이나 골프접대 등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고, 일부 학교의 저가원료 납품 사례 등을 보면 염불보다 잿밥에만 마음이 있는 듯하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0월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 등이 위탁급식을 허용하는 것을 뼈대로 한 학교급식법 개정안을 발의한 부분이나 최근 서울지역 중고등학교 교장들이 직영급식을 보류해 달라고 건의한 사례는 좀처럼 이해되지 않는 대목이다. 여기에 서울시교육위원회가 직영급식 추경예산을 대폭 줄인 것은 결과적으로 위탁급식을 두둔하기 위한 조치 아니냐는 의문이 많다.

학생들은 물론 시민단체들이 직영급식을 강하게 요구하는 것은 급식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여보자는 취지다. 또한 전국의 지자체들이 조례까지 만들어 친환경농산물의 학교급식 확대를 유도하고 있기 때문에 직영급식은 농민들에게 더욱 유리하다. 학교급식은 청소년들의 건강은 물론 우리농산물의 소비확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학교당국 모두 직영급식을 위한 예산지원 확대와 제반 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