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전국사회부 기자

2007년 감귤산업은 ‘최악의 해’였다. 제주경제의 근간인 감귤산업이 무너지면서 제주도민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추운 겨울을 보내야 했다. 원인이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예상생산량의 착오와 부풀려진 열매따기 실적, 출하 조절과 품질 관리 등 총체적인 잘못에서 기인한다고 지적한다. 제주농정 당국의 치명적인 약점은 감귤생산 예상량 수치다. 농정당국은 65만톤을 예상치로 잡고 이 가운데 공무원 총동원령을 내리는 등 대대적인 감산에 나서 7만톤을 열매솎기로 감량하기로 했지만 현실은 그게 아니었다. 당국은 홍수출하와 비상품 감귤 단속 등 출하조절에 실패했다. 물론 감귤농가와 유통상인의 비협조가 화를 키웠지만 관 주도의 감귤산업은 농가들의 의존심을 키워왔고 효율적인 행정을 펼치는데 한계를 불러왔다.

당국은 행정적인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말아야 한다. 도 당국은 행정적인 지원만하며 간벌과 유통 등에 대해서는 생산자단체에게 일임하는 등 역할분담을 강조했다. 그러한 사실은 감귤정책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고 이제야 감귤정책이 바로 섰다는 성급한 평가도 있다.

하지만 도내 지방일간지를 들여다보면 연일 행정기관에서 간벌작업을 한다는 홍보사진이 넘쳐난다. 실제로는 일선 농협이나 농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간벌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관행처럼 굳어져버린 행정기관의 간벌홍보는 어렵게 마음먹고 나선 감귤산업의 역할분담에 방해만 될 뿐이다.

제주도 감귤산업, 모두가 변해야 산다.
김현철kimhc@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