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술 갖춘 전문 인재 집중 육성”

정부가 맞춤형 전문교육을 통한 농업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기존의 농업인교육체계를 대폭 개편한다. 농림부는 지난 7일 한국마사회 컨벤션홀에서 가진 ‘농업교육체계 개편설명회’를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신지식과 기술, 경영능력을 갖춘 경쟁력 있는 사람을 적극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주요 내용을 요약했다.

민간 주도, 현장 위주 수준별 ‘맞춤 교육’ 강화지자체-대학-농협연계 지역특성화 교육 실시창업농 ‘선교육 후선발’ㆍ직업훈련과정 도입도 ▲왜 개편하나=이날 발표회에서 박홍수 농림부 장관이 “농업인들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로 무장된 지식농업의 선도자,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전문경영인으로 변해야 한다”며 “정부도 이를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한 것에서 정부의지를 읽을 수 있다. 정승 농림부 농업구조정책국장은 6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까지 어떤 품목이 경쟁력이 있는지를 따졌으나, 같은 품목을 경영해도 소득차이가 많이 난다”면서 “결국 사람이 경쟁력이며, 올해부터 사람이 경쟁력을 갖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즉, 그 동안의 품목중심, 증산위주의 내용으로 운영돼온 농업인교육체계를 전환해 신지식과 기술, 경영능력과 경쟁력을 갖춘 농업인을 적극 양성하겠다는 것이 교육체계 개편의 이유다. 특히 60세 이상이 농가인구의 30%, 60세 이상이 60%가까이를 차지하고, 현 추세라면 2013년경에 40세 미만의 농업 경영주가 1만 명이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예견되는 상황에서 젊고 유능한 신규인력의 유입을 촉진하는 등 인적자원개발에 보다 과감하게 투자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의도다. ▲농업인재교육체계 개편=공공기관이 담당했던 각종 농업인 재교육을 생산단체 등 민간주도체계로 전환하고, 교육대상 및 내용을 차별화한다. 즉 소농이나 보통농을 대상으로 한 평균적인 교육운영은 농촌진흥청이 담당하고, 농림부는 중농이상 규모화 된 농가를 대상으로 전문기술과 경영교육 등 현장위주의 맞춤형 전문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는 자조금을 조성한 품목을 위주로 25개 품목단체가 생산, 마케팅, 수출까지 전과정을 일괄해서 수요자 중심의 품목전문교육을 실시한다. 품목단체가 아닌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등 8개 농업인단체는 마케팅이나 자금활용 등 경영기법과 경영노하우 등의 교육을 담당한다. 시·도의 경우에는 지역교육주체인 자자체와 대학, 농협 등이 협력체를 구성해 지역특화품목에 대한 신기술, 유통, 마케팅, 2·3차 산업과의 연계교육을 실시토록 지원한다. 아울러 쌀, 축산, 원예 등 부문별로 경쟁력 있는 경영체에 교육비를 지원해 품질향상기반을 구축하고, 브랜드파워와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브랜드육성교육도 신규로 도입한다. 또 이렇게 개편될 교육은 주로 농업교육선진국인 네덜란드의 현장위주 전문교육방식(PTC, Practical training centre with a plus)으로 운영된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200여명 수준이었던 해외연수규모를 1000여명으로 확대하되, 국내에서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네덜란드 PTC 등에서 전문기술을 습득토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업경영컨설팅 지원사업도 축산과 생산기술 중심에서 경영, 마케팅, 브랜드까지 경영전반적인 종합컨설팅이 이뤄지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림부는 지난 1월 26일 농민단체, 민간전문가, 벤처농업인 등 13명으로 구성된 인증위원회를 개최해 ㈜이미지마케팅연구소, ㈔농식품유통연구원, ㈜초록넷, ㈜지역농업네트워크 등 36개 업체를 농업경영컨설팅 업체로 선정했다. 정승 국장은 “무자격 농업경영컨설팅 업체가 난립됐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부터 농림부가 직접 업체를 인증한다”면서 “자격과 능력을 갖춘 업체가 컨설팅을 할 수 있도록 2년마다 평가해 신규진입과 퇴출을 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후계농업인력 교육체계 개편=젊은 후계농업인력을 발굴, 양성하기 위한 교육도 개편한다. 우선은 창업후계농업경영인 선정방식이 ‘선선발 후교육’에서 ‘선교육 후선발’ 체계로 바뀐다. 즉 창업농교육을 받은 사람 중 평가를 통해 능력 있는 창업농을 선발하겠다는 취지다. 이와 함께 강원대와 공주대, 제주대에서 창업트랙제(영농정착교육과정)를 시범운영한다. 창업트랙제는 희망학생을 대상으로 농대 2학년부터 3년간 농업현장에 적합한 과정을 이수할 경우 학자금과 해외연수비를 지원하고, 졸업 후 ‘창업후계농업경영인’ 선정 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또 도별로 1개교씩 9개 농고를 선정하고 농가와 협약을 체결해 산학협력 방식의 현장체험교육과정도 운영한다. 이 외에도 귀농자 등 비농업계 인력의 영농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훈련과정도 신규로 도입된다. 즉 귀농자의 요구수준을 반영해 3~6개월의 단기과정을 신설해 품목특성에 따라 농업이론과 실습, 영농설계 등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직업훈련대상은 만44세 미만의 정착희망자이며, 교육비 지원은 물론 교육기간 동안 월 50만원까지 훈련수당이 지원된다. 또 교육이수자들을 평가해 후계농업인(45세 미만)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교육인프라 확충은=교육기반이나 인프라도 확충한다. 우선은 벼, 버섯, 인삼, 사과, 배, 한우, 돼지 등 20개 품목과정과 친환경농업, 정보화, 리더쉽, 여성농업인 등 4개 공통과정으로 구성된 교육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했으며, 교육기관에서 이를 적극 활용케 할 예정이다. 또한 농업인, 대학교수, 현장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강사풀을 운영하며 일정한 자격을 갖춘 교육시설과 기관을 지정하고 전문기술교육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만 실시토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림부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농업교육심의위원회’를 구성해 농업교육과 컨설팅, 지도사업 등을 총괄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농림부는 농업교육체계 개편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해 35억원 수준이었던 농업인교육예산을 올해 122억원(기금포함 139억원)으로 확대했다.
서상현seos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