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 과수화훼과 ‘백합 발전방안 협의’

갈수록 높아지는 백합 재배농민들의 생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종구의 자급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1일 농림부 과수화훼과는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에서 각 지역 농업기술원 화훼 담당 연구사, 학계 관계자 등 20여명이 모인 가운데 ‘백합 종구생산 발전방안 협의’를 개최했다. 이날 논의된 국내 백합 산업의 현실과 문제점, 대응방안 등을 짚어본다. 수입구근 가격상승…농가 로열티 부담 가중각 지자체 종구사업 통합…생산단지 조성을 ▲국내 현황=우리나라는 지난 1990년대부터 수출 경쟁력이 있는 품목으로 백합(나리)을 육성하기 시작, 1990년에는 재배면적 84.1ha, 생산액 77만8100만원에 불과했으나 2004년에는 231ha, 106만4500만원에 이르는 시장으로 성장해왔다. 그러나 백합 재배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 백합 종구 생산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995년 최고 51ha에 이르던 종구 생산면적이 2004년 들어 9.4ha로 감소한 것이다. 감소한 국내 종구 생산량은 현재 네덜란드 등지에서 수입된 외국산 종구로 대체 의존하고 있다. 농림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백합 구근 수입량은 2000년 331만1000달러, 2001년 356만3000달러, 2002년 349만9000달러, 2003년 382만2000달러, 2004년 425만3000달러로 크게 늘어나고 있다. ▲문제점=수입구근의 국제수급 및 가격이 불안정한 현 실정에서 수입 종구의 가격 상승은 그대로 농가의 생산비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가장 문제다. 전라북도 농업기술원의 조사 결과 백합 재배농민들의 전체 경영비 가운데 백합 종구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73%. 실제로 지난해 시베리아 나리의 종구 가격이 450원에서 650~750원으로 오르면서 백합 재배 농민들의 경영난 부담이 가중됐다. 이처럼 국내산 백합 종구의 자급률이 낮아지게 된 데에는 관주도의 사업 추진이 걸림돌이 됐다는 지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업체가 중심이 되어 종구를 공급하는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정부와 지자체가 산발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산업발전을 더디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강원대학교 김종화 교수는 “민간 종구생산업체의 경우 현재 국내 화훼종묘업체 및 나리조직배양 대량증식업체 8곳만이 운영되고 있고 대부분 영세한 실정”이라며 “정부와 지자체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다보니 민간업체들이 가격경쟁력에서 뒤쳐지게 됐고 이는 우량 백합 종구 산업화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국내 백합의 자체적인 문제점도 제기됐다. 대량증식이 어렵고 오리엔탈나리의 경우 3~4년 이상의 긴 양구기간이 필요한데다 시장성도 약하다는 것. 더욱이 현재 국내 농가들이 관행적으로 외국 품종 인편자구를 통해 종구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불법 증식에 해당, 향후 로열티 분쟁에 휘말릴 소지가 높아 양질의 국내산 나리 종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응방안=국내 백합의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원가절감과 안정적인 물량공급, 소비자 기호에 맞는 다양한 신품종 육성, 철저한 품질관리 등이다. 특히 각 도별로 독자 운영되고 있는 구근생산 사업을 하나로 통합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백합 종구전문생산단지를 조성해야한다는 것이다. 제주원종장 강태완 연구사는 “현재 각 지역마다 사업을 추진하다보니 지역별 품종에 대한 종구를 생산할 수 없는 등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며 “전국적인 종구생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지역별로 필요한 구근을 적시에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기존에 지역별로 운영되던 사업을 하나로 집중시키는데 따른 진통이 예상되는데다 구근가격의 통일, 종구의 규격화 등이 선행돼야 한다. 이에 대해 농림부 과수화훼과 배원길 과장은 “강원도나 태안백합시험장 등 각자 기 운영되고 있던 종구생산기관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정부가 시스템화할 수 있는 방안을 의견수렴을 통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