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역, 정책에 적극 반영 필요▲김학용 의원=지방농정은 연구용역에 대한 정책반영이 잘 안되고 있다. 중앙이 지방과 같이하려는 노력도 미흡하다. 지방의 입장에서 적은 예산이라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만 있더라도 지방의회의 역할은 넓어질 것이다. 경기미의 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지방의원 강력한 리더십 키워야▲이성범 의원=우리나라는 정권이나 장관이 바뀌면 정책에 혼선이 온다. 국가 전체예산은 늘었는데 농업예산은 감소했다. 농어민의 의견을 대변해야한다. 지방의원에게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한다. 그러나 여건이 어렵다.직거래장터 지역경제와 무관 문제▲이인희 의원=경기도내 많은 유통시설이 설치돼 엄청난 변화가 예고된다.그러나 직거래장터나 하나로클럽이 지역경제와는 무관하게 흐르고 있다. 협동조합 개혁문제도 농협주도로 흡수가 논의되는 것 같아 걱정된다. 협동조합은 시군단위로 하나로 통합돼야 한다. 임·축·삼협 특수성이 인정돼야한다. 농촌에 42조원을 기반조성에 풀었는데 농민들은 빚더미에 놓여있다.도의회는 정책보좌관제가 절실한데 매스컴을 통해 개선을 건의해 달라.규제완화와 농지보전 조화를▲한기태 의원=주곡의 안정적 자급기반유지와 그린벨트 해제, 농지전용 허용은 서로 상충되는 요소가 있다. 규제완화와 농지보호라는 상충되는 요소를 조화롭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조, 농조연, 농진공의 통합문제에대한 생각과 견해는 서로 다른데 이를 어떻게 추진할 지 걱정이다. 도의회에서 정책위원회, 평가위원회를 둔다면 의정활동에 도움이 되겠는데 이를현실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농기계 구입지원 확대 아쉬워▲장기찬 의원=농촌일손부족으로 농기계 공급이 아직 필요하다. 기계값이비싸 구입을 못하고 있는 농민에 대한 지원책은 없는가. 일본의 지역농업사례에서 시사하는 바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는 계약재배를 통한 유통이나 소비가 인건비도 안나오는 경우도 많아 시스템화가 필요하다.지방자치 활성화 시급▲이규세 의원=농촌개발의 원대한 꿈을 가지고 광역의회에 진출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시책은 중앙에서 내려오고, 예산편성 또한 지침에 의해 이뤄지므로 의회의 역할이 미미할 수밖에 없다. 빨리 지방자치가 활성화돼 지역특색사업이 본격화돼야 한다.경기 특색사업 발굴 힘합쳐야▲백대식 의원=경기도의 경쟁력은 결국 다른 시도와 차별화에 있다. 경기도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발전전략과 사업추진이 필요하다. 광역의회 활동이도민들에게 알려질 수 있는 고정적인 보도채널이 확보돼야 한다.주민의식 성장 우선과제▲박경재 의원=농가부채 경감, 협동조합 개혁에 대한 원칙과 입장이 궁금하다. 도의원으로서 역할에 한계를 느낀다. 일본의 사례와 같이 과감한 변화가 요구된다. 사회·정책적 배경과 주민의식이 성장해야 할 것이다.개방이후 종자산업 보호 긴요▲한형석 의원=국민의 정부가 일본문화를 개방하고 있다. 종자 또한 일본의로얄티 등 제반문제를 안고 있다. 개방이후 종자산업 대비책이 필요하다.그린벨트내 농업규제 완화를▲강대기 의원=그린벨트에서 과수를 하고 있는 농민들에게 규제완화에 대한민원이 늘고 있다. 경기도만해도 수만평에 이른다. 농가주택 정도의 조치는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