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지방공무원이 사석에서 기자에게 “농업용어는 왜 이리 어렵냐”고 물은 적이 있다. 무슨 제도가 그렇게 많고 정책이 많은지 보통 공부해서는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아마 정부부처 중 농림부만큼 많은 제도와 정책을 시행하는 곳도 없을 것이다. 그러니 어려운 게 당연한 지도 모른다. 그러나 외래용어를 그대로 끌어다 제도로 시행하는 것을 보면 안타깝기도 하고 한편에서는 정책시행자들의 성의가 부족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어메니티, 클러스터, 팜 스테이, 그린 투어리즘 등등... 이들 용어는 모두가 영어다. 그런데도 농업분야에서는 이것을 풀어쓰지 않고 그대로 빌려다 쓰고 있다. 공직자도 어려워하는 이들 용어를 어떻게 농민들이 이해할까. 또 소비자와 함께하는 농정을 그토록 강조하면서 소비자들은 또 이것을 어떻게 이해하겠는가. 클러스터는 협업단지나 집적단지로 하면 어떨까. 예를 들어 고추클러스터는 ‘고추산업 협력단지’로, ‘농촌어메니티’는 ‘매력있는 농촌’이나 ‘쾌적한 농촌’ 쯤으로, ‘팜 스테이’는 ‘농가민박’으로 하면 안되는 것인가. 꼭 외래어를 써야 그럴 듯해 보이는 건가. 정책수요자가 정책용어를 어려워하면 쉽게 풀어써야 한다. 그게 행정서비스다. 농림정책의 수요자인 농민이 단어와 용어를 어려워해서야 어찌 그 정책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겠는가.
이평진leepg@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