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귀농귀촌 실태조사’

[한국농어민신문 서상현 기자] 

연고 있는 농촌으로 이주 증가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 1순위
귀촌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농산업 외 직장취업 가장 많아

귀농·귀촌 10가구 중에 7가구는 귀농·귀촌 생활에 만족하고 있으며,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형이 증가세다. 성공적인 귀농·귀촌 정책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농지·주택·일자리 정보제공과 자금지원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귀농·귀촌한 6000가구(귀농·귀촌 각30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주요내용에 따르면 귀농·귀촌 유형의 경우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형이 증가세였다. 이런 유형이 귀농의 경우 2021년 67.6%에서 2022년 70.7%, 2023년 75.6%로 늘어나고 있었으며, 귀촌은 44.8%였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형은 귀농의 12.3%, 귀촌의 19%였으며, 도시 출신자가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형은 귀농 12.1%, 귀촌 36.2%로 조사됐다.

귀농 이유에 대해서는 자연환경 30.3%, 농업의 비전 및 발전가능성 22.3%, 가업승계 18.8% 순이었고, 귀촌 이유로는 농산업 외 직장취업 24.9%, 정서적 여유 13.1%, 자연환경 12.1% 순이었다. 귀농·귀촌의 이유는 연령대별로 달랐다. 귀농의 경우 30대 이하 청년층은 농업의 비전 및 발전가능성이 34.6%, 가업승계 26%, 자연환경 17.8% 순이었으나 50대 이상(50대 28.6%, 60대 37.3%, 70대 43%)은 자연환경이 1순위였다. 귀촌의 경우 청년층은 농산업 외 직장 취업이 36.2%로 1순위였으나 50대 이상은 정서적 여유 17.8%, 자연환경 17% 순이었다.

특히, 귀농가구의 66.7%, 귀촌가구의 69.3%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귀농가구의 31.6%와 귀촌가구의 29.8%가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또 귀농가구의 69.8%, 귀촌가구의 52.9%가 ‘지역민과의 관계가 좋다’고 응답해 지역과 융합하고 있었으며, 나쁘다는 응답은 각각 0.8%, 1.5%, 나머지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귀농·귀촌가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농지·주택·일자리 등 정보제공, 자금지원 등을 꼽았다. 특히, 귀농가구의 경우 농지·주택·일자리 등 정보제공 38.7%, 농지·시설 자금 및 임대 지원 23.4%, 주택구입·임대 자금지원 13.5%, 귀농·귀촌교육 6.6% 순이었다.

준비기간은 귀농은 평균 25.7개월, 귀촌은 15.3개월이었으며, 준비기간 동안 정착지역 및 주거·농지 탐색, 자금조달, 귀농·귀촌교육과 같은 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가구소득은 귀농 첫해 2420만원에서 경력 5년차에는 3579만원으로 47.9%가 높아졌고, 귀촌은 첫해 3581만원에서 경력 5년차에 4276만원으로 19.4%가 올라갔다. 귀농가구는 채소(35.5%), 논벼(25.5%), 과수(16.8%)를 재배하며, 주작목을 선택한 이유는 재배의 용이성 49.1%, 높은 소득 23%, 주변권유 19.6%, 지역특화작목 4.6% 순이었다.

서상현 기자 seos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