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 기자] 

지난해 연말부터 올해 초까지 만난 농기계업계 전문가와 종사자 등에게 2024 농기계산업 키워드를 물어본 적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율작업·자율주행’과 ‘정밀농업’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이유는 분명했다.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 그리고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촌 여건을 감안하면 자율작업 농기계는 농촌 사회에서 필수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미 오래 전부터 대동과 TYM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자율작업·자율주행이 가능한 농기계를 선보이고 있다.

농가들의 관심도 높은 편이다. 자율작업 농기계를 접해본 한 농민은 “초보 농민도 마치 숙련된 농민처럼 영농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과 사람 구하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율작업 농기계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A업체 관계자도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농가들이 직접 농사를 짓는 것도 한계에 직면했다”며 “현재 자율작업·자율주행 농기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지만 이를 접한 사람들은 높게 평가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얼마 전 만난 농기계업계 한 관계자는 “3~4년 후에 자율작업 농기계는 농촌에 더욱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며 “자율작업 농기계의 시장점유율은 향후 30%까지 오를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자율작업 농기계의 대중화는 아직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문턱은 높은 가격이다. 통상 자율작업이 가능한 농기계가 일반 농기계 보다 수 백 만원 비싸기 때문에 농가들이 선뜻 구매에 나서질 않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쪼그라진 농가 경제도 한 몫 하고 있다.

이에 B업체 관계자는 “농가들이 자율작업 농기계에 대한 관심이 많지만 결국 높은 가격 때문에 망설이고 있다. 그래서 정부가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처럼 자율작업 농기계에도 같은 방식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지금 농촌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력난 문제는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노동자로 해결하는데 한계에 봉착했다. 그래서 인력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자율작업 농기계의 보급 확대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현재 정부는 스마트한 농업을 만들기 위해 스마트농업, 스마트팜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자율작업 농기계 확산에도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것이 영농 활동에 따른 농민들의 피로도를 낮춰 인력난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과 자급률 향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현우 농산팀 기자 leeh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