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농식품 물가 이슈’ 보고서

[한국농어민신문 조영규 기자]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서 
농축수산물 가중치 7.49% 불과
소비자 체감 먹거리 물가서 
농축수산물 원물 비율 낮은편 

일시적 변동에 과민 반응 이어져
생산자 소득·생산 유인 감소 우려
저소득층 대상 물가대책 세워야

농식품 물가의 일시적인 변동을 향한 부정적인 시각은 생산자의 생산 감소를 유인, 향후 물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만, 저소득계층은 농식품 물가상승이 식생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물가대책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농식품 물가 이슈, 진단과 과제’란 이슈플러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농축수산물 차지하는 가중치는 7.49%로 낮다. 먹거리 가운데 가공식품이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가중치는 7.5%로 2000년 6.72%보다 올랐고, 외식도 13.8%로 10.1%보다 증가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은 7.49%로 10.6%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먹거리 물가에서 농축수산물 원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는 것이 농경연의 분석이다.

개별 품목 가중치는 대부분 0.3% 이하로 낮다. 돼지고기(0.98%)와 국산 쇠고기(0.86%), 쌀(0.42%), 수입쇠고기(0.31%) 정도가 0.3%를 넘을 뿐이다. 최근 가격이 올랐다고 보도되고 있는 사과만 봐도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가중치는 0.23%에 불과하며, 귤은 0.18%, 배는 0.07%, 마늘 0.13%, 양파 0.07% 등으로 그 수치가 미미하다. 그런데도 소비자가 농축산물 물가변화를 크게 체감하는 이유로 보고서는 소비자들이 농축산물을 다른 상품에 비해 더 자주 구입하고, 가격 정보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적시했다.

보고서를 집필한 김상효 연구위원은 “농식품의 일시적인 가격 상승을 향한 국민의 순간적 체감도는 클 수 있지만 실질적인 영향은 짧게 지속되거나 미미할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농식품 물가는 생산자의 소득과도 연계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상효 연구위원은 “원재료 등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농식품 물가상승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게 되면 생산자의 소득과 생산 유인이 잠재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향후 물가 부담은 가중될 수 있다”며 “가계에 대한 일시적 영향을 이유로 먹거리의 생산을 지속적으로 책임지는 생산자에게 부담을 주기보단 상호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런 농식품 물가는 저소득계층에겐 부담이 될 수 있다. 농식품 물가 체감도는 소득수준별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저소득계층일수록 식품비가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물가상승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고소득계층은 식품 지출액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지만, 저소득계층은 식품 지출액을 늘리지 못하고,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실질소득이 증가한 뒤에야 식품비 지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가구는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과실 지출 비중은 적고, 채소나 곡물 지출 비중은 큰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고소득계층인 소득분위 10분위 가구는 외식 비중이 53%가 넘고, 농축산물의 경우도 축산물이 39.1%, 과실이 23.3%로 1분위 가구보다 높지만, 1분위 가구는 외식 비중은 40.8%이며, 곡물이 11.5%, 채소가 22.4%로 10분위 가구보다 5.6%, 7.3% 각각 높았다. 따라서 저소득계층 물가지원 대상 품목 선정 시 곡물과 채소의 소피패턴이 높다는 점을 참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더했다.

김상효 연구위원은 “물가상승에 더 취약한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물가대책을 마련할 때는 이들의 식생활 소비패턴에서 더 많은 지출을 차지하는 품목에 집중하는 것이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피력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