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조영규 기자]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체계. (출처-행정안전부)
올 2월부터 112(경찰) 또는 119(소방)가 접수한 산불 신고 정보가 행안부 ‘긴급신고 통합시스템’을 통해 즉시 산림청으로 전달된다.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체계. (출처 행정안전부)

2024년 산불방지대책 마련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적용
초기대응 더 빨라질 듯

올해부터 산불 신고 정보가 행정안전부의 ‘긴급신고 통합시스템’을 통해 산림청에도 전달된다. 이로써 산불 신고접수가 산림청으로 전달되는 시간이 기존 4분에서 2분으로 단축된다. 실시간 산불징후를 감시하는 ‘ICT 플랫폼’을 확충하고, 산불감시카메라 뿐만 아니라 도로와 송전선 주변에 설치된 CCTV를 활용하는 등 산불 감시기능도 강화한다. 산림청은 최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산불방지대책’을 발표했다.

▲긴급신고 통합시스템 편입=올 2월부터 산림청도 산불 신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112(경찰) 또는 119(소방)가 접수한 산불 신고 정보가 행안부 ‘긴급신고 통합시스템’을 통해 즉시 산림청으로 전달된다는 것. 행안부에 따르면, 그동안엔 112나 119에서 산불신고를 받으면 ‘소방청 국가긴급이송정보망→행안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산림청 산불상황관제시스템’을 거치고, 이 때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산불 발생을 인지했었다. 앞으로 112·119 산불 신고 정보가 국가긴급이송정보망과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단계 없이 곧바로 ‘긴급신고 통합시스템’을 통해 산림청에 전달됨에 따라 산림청이 평균 2분20초 이상(4분→평균 1분40초) 빨리 산불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만큼 산불 초기대응도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월 한달간 시범운영하고, 3월부터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ICT 플랫폼’ 확충=산불 감시기능을 강화한다. 핵심은 ‘ICT 플랫폼’ 확충. 인공지능을 통해 산불징후를 실시간 감시하는 ICT 플랫폼을 올해 20개소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남성현 청장은 “전국에 1400여대의 산불 감시카메라가 있고, 주로 연기를 가지고 탐지하는데, 모니터를 하는 상황실 요원이 연기를 미처 보지 못하면 알아차리기 어렵다”면서 “ICT 플랫폼은 알람기능에 열 감지기능, 야간 투시기능까지 있기 때문에 산불 조기 발견이 가능하고 초기에 산불 진화인력이 출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남 청장은 “사각지대도 있을 수 있어 전국 산불감시 인력 2만2000명 정도가 산골짜기를 계속해서 돌아다니며 산불을 감시한다”고 덧붙였다. 산불 감시카메라 외에 올해부터는 도로 등에 설치된 CCTV와 송전선 등을 관리하기 위한 CCTV 등 약 7500대를 활용해 감시구역을 대폭 확대할 계획도 있다.

▲산불 진화 역량 강화=공무원 진화대를 편성할 계획이다. 지자체별로 10명 내외 15개조 공무원을 진화대로 편성하고, 이들에게 산불진화교육과 함께 산불진화복 등을 지급함으로써 예비진화인력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한다. 남성현 청장은 “올해부터 공무원 진화대를 새로 편성하게 된다”며 “대부분 산불이 발생하면 지자체 공무원들이 동원되는데, 숙달되지 않아 오히려 인력동원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어 미리 공무원 진화대를 구성해서 산불이 커지면 산불전문진화대뿐만 아니라 공무원 진화대도 투입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산림청 헬기(45대)과 지자체 헬기(75대), 소방 헬기(29대), 군 헬기(29대), 국립공원관리공단 헬기(1대) 등 유관기관 헬기 공조체계를 강화, 초동 진화에 나선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지난 1월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남성현 산림청장은 지난 1월 29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4년 산불방지대책’을 발표했다.

▲산불 발생 원인 차단=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산불 발생 건수는 596건으로 10년 평균 대비 건수(567건)보다 5%가 늘었다. 피해면적도 4992ha로 10년 평균보다 25%나 증가했다. 이런 산불은 입산자실화(29%)로 인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산림청은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곳은 입산을 통제하고 등산로도 폐쇄하는 가운데 2월부터 국민이 입산통제구간이나 등산로 폐쇄구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모바일 웹 서비스를 운영한다.

영농부산물 소각 근절을 위해 산림청은 범부처 협업으로 산불위험이 높은 연접지는 가급적 2월까지 영농부산물을 수거·파쇄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최대 800대의 파쇄기를 보급하고, 농촌진흥청은 139개 시군에 2팀씩 파쇄수거팀을 운영하며, 산림청은 진화인력 약 1만명을 활용하는 등 영농부산물 수거·파쇄를 위해 범부처가 힘을 모은다.

남성현 청장은 “올해 유관기관의 협력을 통해 대형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