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병성 기자] 

농진청, 연구개발 2단계 사업
농산물 재배·가축사육 방법 등
기후변화 예측해 최적화 돕고
재해 대응·탄소 절감도 집중


농촌진흥청이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기술 연구개발 1단계 사업에 이어 오는 2027년까지 2단계 사업에 돌입한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 간 진행된 기후변화 대응 1단계 사업을 통해 배추, 무 등 9개 작물이 예측모형과 권역별 25개 유형의 작부체계, 17개 아열대 작물 재배 지침서 등이 개발돼 농업현장에 보급됐다.

또한 배추에 글루탐산을 처리해 고온 피해를 줄여 생산량을 15% 늘리고, 봄철 과일 개화기 이상저온 피해 방지 살수법도 개선했다. 농업용수 이용 효율을 40% 높인 밭작물 관개용 지중점적관 ‘드리퍼’와 피오(PO) 필름 국산화 등 국내 농업환경에 적합한 농자재도 선보였다. 

이같은 성과를 기반으로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추진하는 2단계 사업은 총 103개 과제 설정됐다. 1단계 사업에서 개발한 기초·기반 정보와 국가 고유 계수, 탄소 감축을 위한 농업기술 등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델화한다. 또한 기술 정확도와 편의성, 실용성을 높여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특히 2단계 사업에선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적합한 농산물 재배 및 가축사육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재해 대응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농업기술 연구를 적극 추진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현재 75개 시군에 구축된 ‘조기경보서비스’를 확대 적용한다.

올해말까지 110개 시·군에 이어 2025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해 나간다. 농업인이 자주 사용하는 민간기관의 스마트 폰 앱과 기상재해를 예측해 필요한 영농활동을 안내하는 이 서비스를 연계하면 재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축산물 안정 생산기술도 강화한다. 해마다 15종 내외의 기후 적응형 품종을 개발하고 환경변화로 발생한 새로운 병해충의 변이 진단과 추적, 방제체계 구축, 작물별 재해 한계선과 가축 더위 스트레스 지수 지도를 작성한다.

또한 농업시설과 농기자재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설 내 첨단기기 등의 설치 기준을 마련하고, 내재해형 시설 규격 보완과 화분 매개 꿀벌의 안정적인 공급 체계도 갖출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연구개발과 최달순 과장은 “기관 간 협력을 통해 이른 시일 내에 개발 기술이 농업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모형화할 것”이라며 “농업·농촌이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확산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병성 기자 leebs@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