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진 양계협회장 신년간담회

[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살처분된 종계 22만수 안 넘는데  
닭고기 가격 움직일 수 없어

정부, 물가 우려 얘기 나오면
무턱대고 할당관세 일삼아 
물가는 못 잡고 혈세만 낭비
사육비·살처분 보상 현실화 절실

“종란·닭고기·계란 등 정부가 유독 양계산업에 수입 의존 정책을 펴고 있다. 이는 국민에게 주요 먹거리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양계산업을 무너뜨리는 행위다.”

오세진 대한양계협회장은 1월 30일 서울 서초동 제1축산회관 협회 회장실에서 진행된 신년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수입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올해 주력 사업계획을 소개하며 거출률이 높지 않은 자조금 문제, 단체 간 불협화음, 협회 정상화 등 예민한 사항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냈다.

오세진 회장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으로 살처분된 종계 마릿수가 22만수를 넘지 않는데, 이것으로 대한민국 닭고기 가격이 움직인다는 건 상식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정부는 결국 농가들의 강력한 반발에 보류는 됐지만 지난해에 이어 최근에도 종계산업에 대한 경쟁력을 도모하기는커녕 종란 수입을 추진하려 했다”며 “닭고기와 계란 수입도 국내 물량 공급 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만 알면 내놓을 수 없는 정책인데 일부 언론 등에서 고병원성 AI로 물가 우려가 나오자 산업은 보지 않고 무턱대고 할당관세를 일삼았다”고 지적했다.

오 회장은 “잡으라는 물가는 못 잡고 국민 혈세만 낭비했고, 이를 추진하면서 단체들과 협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문제는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솟은 생산비와 고병원성 AI 등으로 힘든 상황에 처한 양계농가를 위한 현실적인 지원책이 강구돼야 한다는 점도 알리며 이를 위해 사육비와 AI 살처분 보상 현실화 필요성을 제시했다.

오 회장은 “유류비, 약품비 등 육계 사육농가는 치솟은 생산비로 신음하고 있지만 여전히 계열사의 사육비는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적어도 물가 인상률에 맞게 사육비를 현실화 시켜 나가야 한다”며 “AI 보상금도 금액을 현실화하고 살처분 범위를 더 줄이거나 산란계에서 발생했으면 산란계, 오리에서만 발생했으면 오리에 대한 살처분만을 진행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살처분 보상금이란 용어에 대해선 “AI도 발생하지 않는 농가의 사유재산을 국가가 침범한 것으로 보상이란 단어도 적절치 않다. 이에 대한 용어 재정립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양계-산란계협회 ‘불협화음’
현저히 낮은 계란 자조금 반성
허심탄회하게 머리 맞댔으면 

한우·한돈 등 타 축종 대비 현저히 낮은 계란 자조금에 대해선 단체 간 불협화음이 주 문제라는 점을 주지했다. 

오 회장은 “현재 계란 생산자단체는 양계협회와 (대한)산란계협회로 분화돼 있다. 계란 자조금에 대해 농가가 관망하게 된 건 양쪽 단체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반성도 한다”며 “양 협회가 허심탄회하게 머리를 맞대고 당면한 문제를 풀어갔으면 한다”고 전했다. 

간담회를 마무리 지으며 협회 정상화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6월까지 정상화 궤도에 올리놓겠다는 게 오세진 회장 구상이다. 

오 회장은 “솔직히 협회가 분열되며 분과위가 제대로 가동되지 못했다. 하지만 종계와 관련해선 이사를 선임했고 종계 분과위원장 임명까지 마친 상태다. 6월까지는 산란계도 이 같은 절차를 밟아 종계와 산란계 모두 부회장 선임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이에 맞춰 협회 직원도 충원해 하반기부턴 안정화 속에 협회가 본격적으로 가동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양계협회는 산란계, 육계, 종계·부화 등 각 분야에서의 올해 주요 사업계획도 발표했다.

산란계에선 △생산자단체 난가 발표 금지에 따른 대응책 마련 △계란 자조금 활성화 방안 모색 △계란 안전성 확보 방안 추진 △2025년 케이지 면적 확대에 따른 피해 최소화 방안 마련 △AI 발생에 따른 농가 피해 최소화 대응을 주 사업 계획으로 삼았다.

육계에선 △축산계열화법 개선 및 현실에 맞는 사육비 조정 △농협 조합원 문제 개선 △AI 살처분 보상금 현실화를, 종계·부화 분야에선 △종계·원종계의 안정적인 수급 대책 마련 △건강한 병아리 생산·보급 △육용종계부화위원회 활성화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