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조영규 기자] 

지난 1월 25일 서울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진행된 ‘2024 농업전망’ 2부 ‘2024년 농정 현안’ 중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농촌 청년 실태와 역할 제고 방안’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지난 1월 25일 서울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진행된 ‘2024 농업전망’ 2부 ‘2024년 농정 현안’ 중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농촌 청년 실태와 역할 제고 방안’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농촌 청년 활동가 육성
농촌 후계자 지원 등 검토
스마트 농촌계획 수립
농촌 워케이션 활성화 필요

청년 세대를 통해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농촌 청년의 이탈을 최소화하고, 도시 청년의 지속적인 유입을 촉진하며, 이들이 다양한 농촌 생활분야에서 행복감을 느끼며 살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농촌 청년이 지역 사회를 활성화시키는 동력을 얻게 되고, 농촌의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이를 위한 과제들로, ‘2024 농업전망’에선 청년의 농촌 정착 지원, 농촌 청년 활동가 육성 등이 제시됐다.
 

농촌의 청년 감소율, 도시보다 높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농촌 청년(232만명)은 청년(1472만명)의 15.8%이며, 농촌 인구(976만명)의 23.7%가 청년이다. 이는 도시의 청년 인구 비중인 29.5%보다 낮다. 2020년 기준 청년 인구는 2000년대비 13.8%가 줄어든 가운데 농촌의 청년 감소율은 18.5%로 도시 12.9%보다 컸다. 그만큼 농촌의 청년은 빠르게 줄고 있다.

농촌 청년 중에서도 청년농은 5.5%에 불과하다. 농촌 주민들이 농림어업에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지만, 청년이 일하는 업종은 제조업(24.9%)과 도·소매업(11.5%),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8%), 숙박 및 음식업(8.2%), 교육·서비스업(6.1%), 운수 및 창고업(5.6%)보다 그 비중이 적다. 청년의 일자리가 ‘농’에만 국한되지 않고 있다는 진단이다. 또, 농촌 청년이 도시 청년보다 더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 마상진 선임연구위원 등이 실시한 청년 실태조사 결과 삶의 만족도 등으로 측정한 청년의 행복은 농촌이 도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년 세대를 통한 농촌 활성화 과제

마상진 선임연구위원은 ‘2024 농업전망’ 2부 행사 중 ‘농촌 청년 실태와 역할 제고 방안’란 주제발표에서 청년 세대를 통해 농촌을 활성화를 하기 위한 과제로 ‘청년 세대의 양적 확보’를 강조했다. 그래서 청년의 농촌 정착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 도시 청년이 농촌으로 이주할 땐 한순간의 결심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농촌 경험→구체적 탐색→이주 준비→농촌 정착’ 등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 만큼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마상진 선임연구위원의 의견이다. 그는 ‘지자체 단위 농촌 청년학교 운영’, ‘농촌형 일자리 서비스 제공’, ‘농촌 청년 기본 수당·주택 제공’ 등을 제안했다.

청년 세대가 농촌의 지역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발전시키려면 혁신 주체가 필요하다. 농촌 활성화를 위한 핵심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미다. ‘농촌 청년 활동가 육성’, ‘농촌 후계자 지원’ 등을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농촌의 세대간 소통이 줄어들고, 청년 세대 내 이질성도 늘고 있다. 때문에 농촌에 청년이 들어와도 이들의 정착이 걱정이다. 마상진 선임연구위원이 개인보단 마을 단위로 청년 정책사업을 통해 청년이 지역사회에 참여하거나 지역개발에서 제 역할을 확대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편 이유다. 기존 유휴공간을 재활용, 접근성이 좋은 읍·면 소재지 단위로 청년 소통공간을 조성한 ‘상주 청년이그린협동조합’이나 중앙정부·광역지자체·기초지자체가 연계해 각종 정부사업을 매칭해 청년 중심으로 재개편을 추진하는 ‘의성 이웃사촌 청년마을’ 등이 그 예다.

농촌 청년이 도시로 이탈하는 가장 큰 요인은 불편한 주거환경이다. 농촌의 공공시설이나 편의시설은 대부분 읍·면 소재지에 집중돼 있고, 생활 인프라도 아날로그적인 경우가 많다. 청년 주도 농촌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마상진 선임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한 농촌의 건설을 통해 농촌의 교통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농촌의 삶의 질 관련 각종 서비스의 질과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며 농촌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 농촌계획 수립, 도시 청년 직장인이 농촌에 거주하면서 일하는 형태인 농촌 워케이션 활성화 등을 함께 제시했다.

마상진 선임연구위원은 △‘농촌 청소년 지역 알기 프로그램 운영’ 등 미래 세대를 위한 농촌 교육 △농촌 청년을 위한 별도의 정책 추진 체계 구축 등도 함께 제안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