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방역대책위 본격 행보

[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민·관·학 합동방역대책위원회는 구성된 뒤 첫 회의로 지난 17일 제1차 PED·PRRS 대책반 회의를 개최, 양돈장에 확산되고 있는 PRRS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민·관·학 합동방역대책위원회는 구성된 뒤 첫 회의로 지난 17일 제1차 PED·PRRS 대책반 회의를 개최, 양돈장에 확산되고 있는 PRRS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고병원성으로 진화하고 있는 데다 돼지농장 생산성 저하의 심각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PRRS(돼지 호흡기 생식기 증후군)’. 하지만 제3종 가축전염병이란 특성상 실태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PRRS 대응을 위해 민·관·학이 손을 잡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정확한 현황 파악과 더불어 시설현대화와 전염병 청정화 정책 연계 등의 주문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한돈협회를 비롯한 민·관·학이 함께 하는 합동방역대책위원회가 지난달 구성<본보 2023년 11월 15일 1면 참조>된 뒤 첫 회의인 ‘제1차 PED·PRRS 대책반 회의’가 지난 17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선 PRRS 발생 상황과 현재 문제점 및 관련 대응 방안 등의 논의가 시작됐다. 

#실태 파악도 안 되는 생산성 저하 주적 PRRS

전국 돼지농장으로 확산되고 있는 생산성 약화 주범 PRRS는 모돈 번식 장애와 더불어 전 연령대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한다. 
전국 돼지농장으로 확산되고 있는 생산성 약화 주범 PRRS는 모돈 번식 장애와 더불어 전 연령대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한다.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
전파력 강한데다 
바이러스 변이도 많아
고병원성으로 진화 ‘경계’

이날 논의된 내용에 따르면 최근 고병원성으로까지 진화된 PRRS가 충청·전북·경남에서 발생, 경기 등 타지역으로도 전파되며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농장에선 생산성 저하, 시장엔 수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PRRS는 모돈의 번식 장애와 더불어 전 연령대에서 호흡기 질환으로 성장률도 감소한다. 국내에서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된 PRRS는 유산을 포함한 번식 장애, 호흡기 질환, 성장률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전파력이 강한 데다, 바이러스 변이도 많다. 유전자 변이가 매우 빨라 농장마다 다양한 변이주들이 동시 감염되고 있고 백신에 의한 돌연변이주도 발생하고 있다. PRRS는 국내 사례의 경우 유산이 10~20%, 자돈 폐사가 30%에다 농장 회복까진 3개월이 소요된다.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잡히는 PRRS 발생 현황은 2020년 22건, 2021년 44건, 2022년 35건, 2023년 33건 등이다. 하지만 민·관·학 모두 PRRS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지역 다수의 농장에서 창궐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PRRS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제3종 전염병으로 분류돼 이동제한 등 방역 규제로 인해 정확한 발생 현황과 피해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제3종 전염병의 경우 시장·군수·구청장이 신고 지연, 소득 설비 위반, 외국인 근로자 미 교육 등 충분히 실수할 수 있거나 경미한 사안에 대해서도 사육시설 폐쇄나 6개월 이내 가축 사육 제한 등을 명할 수 있어 신고를 기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RS 대응 방안은
“정확한 실태파악 급선무모니터링 최우선돼야”

제3종 전염병에서 제외 목소리
현장 시설현대화 연계 제안도

PRRS 대응을 위해선 무엇보다 실태 파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데 이날 참석한 대책반원들은 한목소리를 냈다. 

최종영 한국돼지수의사회장은 “돼지수의사회에서 PRRS 국내 발생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분석해 보니 지역 유행성, 혼합 감염 증가, 만성형 증가, 재감염률 증가, 피해기간 증가, 혼합백신 사용 증가 등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PRRS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 등 통계 없인 양돈 수익 창출에 대한 어려움이 커지고 항생제 사용량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수의사와 생산자, 정부가 함께 전국 단위의 PRRS 통계 전략을 수립해 하나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상억 다비육종 발라드 동물병원장도 “모니터링이 제일 우선시돼야 하며 모니터링할 혈액도 확보돼 있다. 구제역 관련해 도축장에서 채혈하고 있고 공중방역수의사가 농장별 채혈을 정기적으로도 한다”며 “PRRS 현황 파악 비용만 조금 더 들이면 PRRS도 모니터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돈업계에선 제3종 전염병에 대한 재검토, 현장 시설현대화와의 연계 등을 주문한다.

조진현 대한한돈협회 전무는 “PRRS를 제3종 전염병에서 제외하거나 3종 전염병에 대해선 별도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그렇게 돼야 PRRS에 대한 정확한 발생 현황과 피해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양돈 농가인 이재춘 한돈협회 강원도협의회장은 “축사현대화사업에 질병 청정화 사업도 같이 연계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아야 한다. 이렇게 되면 돼지를 전부 비우고 전문가와 매칭해 방역동선을 어떻게 할지, 시설은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등을 통해 현대화와 질병 청정화를 같이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에선 회의를 지속하며 PRRS 대응에 대한 세부 과제들이 만들어지면 연말 안에 PRRS에 대한 대응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홍금용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 사무관은 “농장 차단 방역 중요성 속에 PRRS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모니터링, 가전법 개정 등의 제도적 뒷받침, 올바른 백신 정책, 현대화 시설 연계 등 이제 PRRS 대응에 대한 뼈대가 만들어지고 있다”며 “각 카테고리별로 역할을 분담해 살을 붙여 나간다면 대책 보고서가 나올 것이다. 이를 통해 올 연말 안엔 현장(업계)과 정부, 학계가 할 수 있는 방향이 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