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발생 면적 395.1ha서
지난해 111.8ha까지 줄어

[한국농어민신문 이병성 기자] 

과수화상병 발생 면적이 감소 추세로 돌아선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과수화상병 우려가 높은 지역을 주기적으로 예찰하는 등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한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 2020년 747농가, 395.1ha에 달했던 과수화상병이 2021년 619농가(289.4ha), 2022년 245농가(108.2ha), 2023년 234농가(111.8ha) 등으로 수그러들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과수화상병 현장 대응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사전 예방 활동을 적극 추진한다. 156개 시·군 과수화상병 위험도 평가 및 맞춤형 기술을 투입하고, 기주식물을 다시 심은 과수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시·군 위험도별 ‘대응 기술’재식기간 후 다시 개원 땐 토양 검사·무병 묘목 지원

또한 발병 위험도를 평가해 156개 시·군을 고위험(22개 시·군), 중위험(40개 시·군), 저위험(94개 시·군)으로 분류하고 위험성 수준에 따라 대응 기술을 투입할 계획이다. 과수화상병이 발생해 폐원했던 과수원의 재식 기간이 지나 다시 개원할 경우 기주식물을 심기 전 토양 검사와 무병 묘목도 지원키로 했다.

이외에도 발생 증가가 우려되는 안동, 양구, 무주, 봉화 등 4개 시·군에 대해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전담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국립종자원은 묘목장 내 과수화상병 감염 여부 검사 및 반출 금지 업무를 담당한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채의석 과장은 “잦은 비와 평년보다 높은 기온으로 과수원 주변에 병원균이 잠재해 있을 우려가 높다”며 “과수농가는 겨울철 가지치기 작업을 할 때 궤양을 제거하고 감염 의심 나무가 발견되면 즉시 신고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달 ‘상황관제 시스템’ 운영현장서 모바일 기기 입력시 실시간 점검 가능해져

특히 농촌진흥청은 과수화상병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올해 1월말부터 ‘과수화상병 상황관제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에 들어간다. 이 시스템이 가동되면 도농업기술원과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 농작물 병해충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과수화상병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 내 과수원을 주기적으로 예찰할 수 있게 된다. 현장에서 즉시 모바일 기기에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실시간 점검도 가능해 진다. 

농촌진흥청 손찬수 데이터정보화담당관은 “현재 각도 및 시군 별로 과수화상병 상황 정보를 조사하고 취합해 농촌진흥청에 제공하면 정책 의사 결정에 활용하고 있다”며 “과수화방병이 발생했을 경우 약제살포, 매몰지 또는 방제 구역 설정, 인근 과수원 확산 여부 및 발생 위험도 예측 등 관련 상황을 실시간 관제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병성 기자 leebs@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