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구미교육원 유효상 교수

[한국농어민신문] 

다사다난했던 계묘년(癸卯年)도 끝이 나고 ‘푸른 용(靑龍)의 해’인 갑진년(甲辰年)의 새해가 다가왔다. ‘용(龍)’은 예로부터 상상속의 동물로 풍운(風雲)의 조화를 다스리는 수신(水神)·해신(海神), 그리고 국가의 수호신이자 왕실의 조상신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2024년은 기대와 설렘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우리 농업·농촌은 날로 심각해지는 고령화와 인구 유출 등으로 인해 소멸 위험에 처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2023년 3월 한국고용정보원의 ‘통계로 본 지역고용’ 보고서에 의하면 전국 기초자치단체(시·군·구) 228개 중 절반 이상(51.8%)인 118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고, 그 중 51곳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북은 전체 기초자치단체 14곳 중 전주시를 제외한 13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어 심각성을 보여주었으며 뒤를 이어 강원(88.9%), 경북(87.0%), 전남(81.8%), 충남(80.0%) 등이 80%이상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런 어려운 시기에 우리 모두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하는 것은 어떨까?

‘고향사랑기부제’란 개인이 자신의 주소지 이외의 지자체(고향 등)에 기부하면 지자체는 그 기부금을 주민복리 등에 사용하고 기부자에게는 세제혜택과 기부액의 일정액을 답례품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도로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개인이 연간 500만원 이내에서 기부가 가능하고 지자체는 기부금액의 최대 30%까지 답례품을 제공할 수 있어 기부 문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가능한 순기능 제도이다.

‘고향사랑기부제’의 동참을 통해 첫째, 인구 유출이 많고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 특히 농촌 지역 지자체는 지역주민이 필요한 곳에 쓸 수 있는 재원을 확보하게 된다. 둘째, 기부금액의 30%까지 제공하는 답례품으로 농·축산물 등 지역 특산물을 선정하여 ‘지역경제 살기기’가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기부자는 기부를 통해 내가 자라온 고향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고향의 답례품을 제공받아 애향심을 가지게 된다.
뉴스를 비롯한 많은 TV프로그램에서 지방 소멸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우리 농촌의 존립을 걱정하고 있다. 하지만 ‘고향사랑기부제’의 안정적인 정착으로 농업·농촌에도 희망이 보이고 있다.

이제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해 ‘고향사랑기부제’ 참여가 필요하다. 우리 농업인은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농·축산물을 생산하고, 지자체는 이러한 지역의 특산품인 농·축산물을 답례품으로 제공하며 기부자는 고향의 정을 느낄 수 있는 답례품으로 농·축산물을 선택하는 것이다.

삶의 터전이자 식량 안보, 환경 보전, 수질 정화, 전통문화 계승 등 공익적 가치를 지닌 우리의 농업·농촌이 하늘로 솟구치는 ‘푸른 용의 해’를 맞아 인구도 늘어나고, 아이들의 웃음소리도 들리는 그런 고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