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원, 종자산업현황조사

[한국농어민신문 최영진 기자] 

2022년 판매액 총 6757억
2020년 대비 3.8% 증가 불구
‘5억 미만’ 소규모 업체가 91.6%
지난 조사보다 2.2%p나 늘어

작은 기업들 재원 마련 힘들어
신품종 개발보다 유통업 치중
전통육종 등 지원 다각화 시급

국내 종자산업이 꾸준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영세성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사의 기반이자 농업의 미래인 종자 산업 발전을 위해선 보다 다각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국립종자원이 발표한 ‘2022년 종자산업현황조사(종자업·육묘업)’에 따르면 종자 분야 판매액은 6757억원으로 2020년(6505억원)보다 3.8% 증가했다. 종자 주요 품종인 채소 종자는 4169억원으로 2.5% 올랐고, 화훼는 12.1% 상승한 52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어 식량 종자는 244% 증가한 289억원, 산림 종자는 153% 늘은 352억원으로 조사됐다. 주요 품목 가운데 과수와 버섯 분야의 판매액만 각각 0.6%, 20.6%씩 하락했다. 종자 분야 판매액 비중은 채소(61.7%), 과수(10.3%), 화훼(7.8%), 버섯(7.66%), 산림(5.2%), 식량(4.27%), 특용·사료 등 기타(3.04%) 순이다. 

하지만 산업 구조는 영세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종자 기업 2143개 업체 중 판매액 5억원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91.6%에 달했다. 이는 지난 조사(89.4%)보다 2.2%p 심화된 것이다.

5억원~15억원 미만의 중소규모도 지난 조사(5.53%)보다 1.1%p 줄어든 4.43%, 15억원~40억원 미만의 중규모도 2.84%로 나타나 기존보다(3.32%) 감소했다. 40억원 이상의 대규모기업도 지난 조사보다(1.78%) 줄어든 1.11%등으로 집계되는 등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띄었다. 

종자업계는 이런 상황이 신품종 개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 내실화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지원을 디지털육종에 그치지 않고 전통육종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품종 개발을 위해선 5년 이상의 육종기간과 유전자원 수집, 재배 부지 마련 등이 필요한데, 소규모 기업은 이런 재원을 마련하기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종자업계 관계자는 “영세화의 가장 큰 문제는 종자 산업이 개발 보다는 유통업 위주로 흘러 갈 수 있다는 점”이라면서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기초적인 전통육종을 가르치고 있고 대부분의 기업이 전통육종이 중심인 상황에서 디지털육종만 지원이 이뤄지면, 종자산업이 뿌리는 얇아지고 열매만 무거워져서 무너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번 2022년 종자산업현황조사에서도 종자기업이 정부에 희망하는 지원으로는 ‘신품종 육성 개발’이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육종 등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14.6%)’, ‘원종 증식 및 F1 생산’(7.1%), ‘유전자원 수집·관리(6.6%)’ 등 품종 개발과 관련한 지원사업 요구가 두드러졌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육종가들의 신품종 개발을 위해 농촌진흥청에서는 수집된 유전자원을 공유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지만 예산상 애로가 있는 실정”이라면서 “올해는 신품종의 상업화를 위한 출원 비용 지원과 기존 9개 권역에서 이뤄졌던 해외 전시포 사업을 11개로 확대하고, 올해로 20회를 맞는 우수품종상과 관련한 시상 품종에 수혜를 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2022년 종자산업현황조사’는 격년별로 따로 조사되던 종자업과 육묘업을 처음으로 통합해 이뤄졌다. 육묘 분야 판매액은 1997억원으로 2021년(1989억원) 대비 0.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311개 육묘 기업 중 중 판매액 1억 5000만원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79%로, 지난 조사(81.83%)보다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최영진 기자 choi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