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 정책과제 발굴 위한 라운드테이블

[한국농어민신문 최영진 기자] 

GCN녹색소비자연대와 한국친환경농업협회가 지난 11일 서울 새문안광화문빌딩에서 ‘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GCN녹색소비자연대와 한국친환경농업협회가 지난 11일 서울 새문안광화문빌딩에서 ‘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친환경농산물-일반 농산물 차이
국민 10명 중 8명 ‘안전성’으로 인식
비교적 비싼 가격, 소비 촉진 위해
환경보전 효과 강조·정책지원 등 제언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친환경농산물과 일반 농산물의 차이가 농약‧비료 사용량과 안전성에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비교적 가격이 비싼 친환경농산물 소비를 촉진하려면 가격지원과 함께 친환경농업의 환경보전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홍보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GCN녹색소비자연대와 한국친환경농업협회가 지난 11일 서울 새문안광화문빌딩에서 개최한 ‘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라운드테이블’에서다. 이날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는 11월 30일~12월 7일까지 전국의 일반 소비자 1300명과 CRA 참가자 130명을 온라인으로 조사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CRA 참가자는 녹색소비자연대의 구매 및 교육 체험 등에 참여한 회원을 뜻한다.

해당 설문결과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과 일반 농산물의 1순위 차이점으로 일반 소비자의 80.8%가 ‘농약과 비료의 사용량’, ‘안전성’을 꼽았고, CRA 참가자는 85.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순위로도 이를 꼽는 일반 소비자는 41.5%, CRA 참가자는 75.4%에 달했다. 

구매이유와 공익적 가치에 있어서도 ‘건강’이 주된 이유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 소비자의 81.9%, CRA 참가자의 75.4%가 친환경농산물이 ‘건강과 영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구매 이유로 꼽았고, 공익적 가치로도 ‘건강한 농산물 생산’을 선택한 비율이 각각 58.5%, 64.6%였다. 반면 ‘환경보전’을 친환경농산물 구매이유로 선택한 비율은 12.3%, 23.8%에 그쳤다. 

친환경농산물 구매 시 어려운 점으로는 일반소비자의 63.5%, CRA 참가자의 52.3%가 1순위 이유로 가격을 꼽았다.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87.5%, 90.8%로 모두 높았고, 지인 추천 의향(88%, 95.4%)과 재구매 의향(92%, 93.1%)도 유사한 등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불만족한다는 데는 일반소비자와 CRA 참가자 간 차이를 보였다. 일반 소비자는 가격(58.7%)을 이유로 들었지만, CRA 참가자는 신선도 부족(41.7%)을 선택했다. 가격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8.3%에 불과했다.

서아론 녹색소비자연대 국장은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지도는 상당한 편이나 일반농산물과의 차이점을 농약과 비료 사용량, 안전성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공익적 가치의 우선순위도 건강한 농산물로 나타나 혹시 모를 농약 이슈 등에 대비가 필요하며, 환경보전 인식은 낮으므로 소비자 교육과 함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가격지원이나 정책적 보조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친환경농업을 통한 환경보전 효과 연구·홍보와 가격 보조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홍연금 한국소비자단체협희회 본부장은 “가전기기에 에너지효율을 적어놓는 것처럼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하면 얼마큼의 환경보전 효과가 있는지 연구하면 소비자들의 구매유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이와 함께 유통구조 변화, 가격 보조 등의 정책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연 단국대 교수는 “친환경농업은 생태계 보전, 생물다양성 등 환경적인 농업을 하자는 것이 본래 취지인데, 그간의 규정들로 인해 안전성에 초점이 맞춰졌다”면서 “이런 부분을 바꿀 수 있도록 각계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진 기자 choi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