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중국 정부가 국내 업체가 구매한 요소의 선적작업을 중단하면서 제2의 요소대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수입선 다변화 등으로 안전장치를 마련했다고 하지만 가격과 거래규모 및 이동 거리 등의 비용을 감안할 때 추가 대비가 요구된다. 요소비료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농작물 생산비 증가는 물론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요소파동 우려는 중국 정부가 국내 반입 물량의 선적작업 중단이 계기다. 지난 2021년의 요소파동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대두된 것이다. 당시 중국의 요소수출 중단으로 국내 업계는 원료수급 애로와 가격상승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가 가격상승분 차액을 지원하는 등의 대처로 위기를 넘겼다. 

이후 요소 수입선은 중동 등으로 다변화됐다. 중국의 수입 비중은 당시 65%에서 22% 수준이다. 하지만 중동의 경우 구매물량 단위가 크고 이동시간이 긴데다 장기보관에 따른 비용과 품질관리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중국은 2~3개월 단위, 몇 천 톤으로 계약해 국내 업체에 부담이 적다. 하지만 중동은 처음 발주가 2~3만 톤이어서 부담이 크다. 이는 제조가격과 생산비 증가로 이어져 소비자물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향후 위험에 대비해 정부가 원료가격 인상분 차액지원 등의 안정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