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현우 기자]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가 11월 30일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개최한 '스마트팜 표준화 공청회'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들은 정부의 스마트농업과 수출 관련 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가 11월 30일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개최한 '스마트팜 표준화 공청회'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들은 정부의 스마트농업과 수출 관련 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청년농 임대형 스마트팜 확대
유휴농지 등 생산기반 정비
청년창업농 스마트농업단지 조성
스마트팜 수출 본격 추진 계획


정부가 스마트농업 활성화와 스마트팜에 종사하는 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팜 관련 교육프로그램과 임대형 스마트팜을 확대한다. 이 같은 정책 지원으로 2027년까지 스마트농업 비중을 3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가 11월 30일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개최한 ‘스마트팜 표준화 공청회’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이 강조했다.

‘스마트농업의 정책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권병철 농식품부 사무관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현재 상주·김제·고흥·밀양에서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운영하고 있고 임대형 스마트팜은 전국 26곳에 조성됐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스마트농업 관련 정책 지원을 강화해 2027년까지 스마트농업을 30%까지 확산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농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관련 스마트팜 혁신밸리 4개소에서 매년 208명의 청년을 선발해 청년창업보육센터에서 실습 교육(6개월 또는 12개월)을 실시하고 있고 우수 수료생을 대상으로 임대형 스마트팜에 3년 동안 입주와 경영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또 스마트팜 실증단지에서 기업의 신기술 실증과 제품 개선, 사업화 등을 지원하고 있고 빅데이터센터에서는 혁신밸리에서 생산하는 교육·연구·실증 데이터를 분석하고 공유한다. 이와 함께 노지스마트팜을 확산하기 위해 밭농업 기계화 추진, 지능형 무인·자동화 농기계 개발과 사용화를 위한 민관 협력과제 수행 등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나주에 무인·자동화 시범단지를 조성하고 새만금에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를 구축한다. 지능형 농기계 개발 R&D 지원과 자율주행 농기계 장비 보급도 병행한다.

권병철 사무관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 지역단위 확산거점을 마련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온실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청년을 대상으로 20개월 동안 진행하는 혁신밸리 청년창업 보육센터 교육프로그램을 추가로 운영하는 한편 청년농 등을 대상으로 영농 경험과 창업기반을 지원하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확대하겠다. 또 유휴농지 등에 생산기반을 정비한 후 장기 임대·매도하는 청년창업형 스마트농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스마트팜을 포함해 농산업 수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주준현 농식품부 사무관은 ‘농산업 수출활성화 정책 방향’을 주제로 실시한 발표에서 “2022년 농산업 수출액은 30억8000달러로, 2027년 농산업 수출액 목표는 80억 달러”라며 “스마트팜 기술력은 선진국 대비 70%이지만 비닐온실과 수직농장은 세계 수준이다. 스마트팜 수출을 본격 추진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의 세부 추진사항을 살펴보면 스마트팜의 경우 한·사우디 셔틀경제협력단, K-스마트팜 로드쇼 등을 통해 업계와 바이어 간 상담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1:1 비즈니스 온라인 상담회, 국내외 주요 박람회 참가 지원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 UAE 국부펀드 투자제안 지원, 국부펀드 실무협력 채널 발굴 등 금융·투자지원과 스마트팜 전담 직원 배치 등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 GCC 6개국(카타르·UAE·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오만·바레인)과 협력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카자흐스탄, 베트남,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시범온실을 조성한다.

농기계 수출을 위해 무이자 할부 등 금융지원 강화(미국), 신규 유통망 확보 및 시장 다변화(유럽·중남미), 중고 농기계 ODA 추진 시 구매 지원(아프리카) 등 국가별 상황에 맞게 추진하고 농기계 정책자금도 30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확대한다. 비료 수출의 경우 주력시장인 동남아 지역을 공략하기 위해 신규 비종 판매(태국), 선호색상 비종 생산과 홍보 확대(베트남), 정부 바우처에 따른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SNS 활용(필리핀) 등 국가별 맞춤 마케팅, 미국·뉴질랜드 등 프리미엄 시장 개척 등에 나선다.

이현우 기자 leeh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