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강재남 기자] 

수확기마다 농촌은 인력난으로 몸살을 앓는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 등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농업인력중개사업 등 인력 공급에 초점을 맞춰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같은 ‘공급’ 위주의 정책만으론 한계가 분명하다.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경우 비자, 체류기간, 외국인 관리 및 숙소 등의 문제가 계속 나오고 있고, 내국인의 경우 숙련도, 근로 의지, 인력 모집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때문에 농업 인력난 해소 방안을 ‘수요’ 저감에서 찾아보자는 지적이 나온다.

대부분의 농가들은 농산물 가격 형성 초기에 대량의 농업 인력을 투입, 단기간에 일괄 수확해 출하하는 것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소득을 얻는 것’이라 생각한다. 당연히 농산물 수확·출하시기에 농업 인력난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수요 집중으로 인해 가중되는 인력난을 완화시키려면 농산물 수확·출하시기를 분산시키는 게 방법이란 얘기다.

제주지역의 감귤과 마늘을 예로 들어보자. 감귤의 경우 2~3명 가족 단위 인력을 활용해 완숙과 중심으로 부분 수확·출하를 통해 농가별 수확·출하 기간을 길게 가져간다면 인력 수요의 분산이 가능하다. 마늘의 경우엔 지역농협이나 권역별로 공선회와 작목반 등이 ‘수눌음(품앗이)’ 조직을 구성해 수확과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관건은 이러한 농산물 수급 조절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누가’ 맡을 것이냐이다. 농가 주도의 자율적 수급안정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제주도가 최근 설립한 ‘제주 농산물 수급관리연합회’의 역할에 주목하는 이유다.

수급관리연합회는 농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품목별 의무자조금단체를 중심으로 매년 반복되는 농산물 과잉 생산과 가격 폭락에 대응해 최종적으로 농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설립됐다.

현재 수급관리연합회의 역할이 생산량을 중심으로 주요 농산물의 재배면적을 조절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향후 제주산 농산물에 대한 출하량 조정 권한을 부여할 경우 농산물의 공급과 수요 균형으로 일정 가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를 통해 농가에 안정적인 소득이 보장된다면, 농민들이 수확기에 경쟁적으로 조급하게 출하하지 않고 출하 시기를 조절, 인력 수요 저감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출하시기 조절에 필요한 권역별·농가별 저장시설 보급과 기존 인력공급 정책이 맞물려 추진될 경우 지금의 농업 인력난 해소에 다소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제주취재본부 강재남 기자 kangjn@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