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맞춤 벼 종자 생산부터
농가 보급까지 체계적 관리

[한국농어민신문 서상현 기자] 

정부가 ‘아프리카 케이(K)-라이스벨트 추진단(T/F)’를 발족시키고 현지 환경에 맞는 벼 종자의 생산에서부터 농가 보급까지 체계적 관리를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종자원,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참여하는 ‘케이-라이스벨트 추진단’을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총괄기획, 생산기반조성, 종자생산, 농가보급 및 유통, 국제기구 및 대외협력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동아프리카 등 8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케이-라이스벨트’ 사업은 대표적인 농업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으로 국제사회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이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특히, ‘케이-라이스벨트’에 참여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은 쌀을 주식으로 소비하나 생산량 부족으로 연간 약1500톤의 쌀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한국의 쌀 자급률 달성 경험을 토대로 아프리카 8개국의 식량안보를 개선하는 것이 ‘케이-라이스벨트’ 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다.

이에 대해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한국이 짧은 시간에 쌀 자급을 달성한 경험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로, 아프리카에서는 한국의 농업기술을 배우기 위한 열정이 대단하다”면서 “추진단 발족을 통해 현지의 여건과 수요를 파악하고, 아프리카 쌀 생산 및 유통 가치사슬 전반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관리해나가겠다”고 전했다.

‘케이-라이스벨트’ 사업계획에 따르면 2027년부터 연간 벼 종자 1만 톤을 생산해 농가에 보급하기 위해 농식품부와 농어촌공사에서는 벼 재배단지 확보 및 생산 인프라 조성을 지원한다.

농진청에서는 벼 전문가 파견과 기술지도 등을 통해 다수확 벼 종자를 생산하면서 현지 전문가를 양성할 예정이다. 또한 농식품부, 대상국 정부와 국제기구 등이 현지의 제도와 유통체계 등을 조사해 농가에 종자를 보급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서상현 기자 seosh@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