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경욱 기자]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에서의 고양이 AI 검체 채취 현장  사진=서울시청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에서의 고양이 AI 검체 채취 현장  사진=서울시청

서울서 고양이 7마리 감염
전문가 “지나친 우려 자제를”
동물방역청 신설 등 요구도 


서울 도심지에서 고양이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잇달아 확진된 가운데 수의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의 지나친 불안감 조성은 자제해야 한다면서도 돼지 등 가금 외 타 가축에서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정책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세계적인 포유류 발생 추세를 보며 중장기적인 대비를 위해 현 가금류 위주의 AI 정책 확대 속에 동물(방역)청 신설 등의 검토도 요구된다는 목소리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25일과 31일 서울 용산·관악구 동물보호소에서 고양이 7마리가 고병원성 AI(H5N1형)에 최종 확진됐다. 이후 농식품부는 지자체 등을 통해 해당 장소 세척·소독과 출입 통제,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 조치와 방역지역 감수성 동물 사육시설 및 역학 관련 사람·시설 등에 대한 예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관할 지자체와 함께 고양이에 대한 접촉자 조사 등 AI 인체감염 예방 조치를 시행 중이다. 환경부는 AI 발생지역 인근 철새서식지를 중심으로 텃새를 포함한 야생조류 AI 감염 실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수의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에 대한 지나친 우려는 자제해야 한다면서도 중장기적으로  주목하며 대응을 시작할 필요는 있다고 밝힌다.  

A 전문가는 “지금 당장 사람에게 고병원성 AI가 옮긴다든지, 가금류 외 타 동물(가축 등)로 이종 간 발생이 확산된다든지 등의 지나친 우려와 불안감 조성은 경계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다만 세계적인 추세를 볼 때 철새와 닭, 오리 등 기존 가금류를 넘어 이젠 여우, 표범, 바다사자 등 포유류에서도 확진 사례가 나오고 있다. 돼지 등 가축에서도 AI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현재 닭·오리 위주의 전문가가 참석하는 정부 AI 협의회를 돼지 등 타 축종 전문가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B 전문가는 “수의 전문가라고 해도 가금과 돼지, 소 등의 전문가는 다르다. 포유류까지 AI가 발생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돼지, 소 등의 전문가도 AI 협의회에 들어가야 하고 선진국에선 이미 그런 활동을 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동물 종류별로 관련 부처·기관이 나뉘어 있어 전문가들이 지속해서 요청하고 있는 동물(방역)청 신설도 이제는 제대로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C 전문가는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식물과 동물을 함께 담당하고 있고, 검역본부란 명칭처럼 방향성이 외국에서 들어오는 질병을 막는 검역에 특화돼 있다. 인체 질병을 관리하는 질병관리청처럼 국내 동물을 컨트롤타워할 수 있는 동물청 신설을 이젠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의미래연구소 관계자는 “현재의 동물방역 체계로는 새로 발생하거나 확산하는 감염병 관리에 한계가 있다”며 “방역부터 동물복지 등 동물 관련 정책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며, 이는 수미연을 비롯해 수의계 전반에서 동물청 신설에 대한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물의 종류에 따라 농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관리 부처가 다르고, 방역의 컨트롤 타워 없이 지자체가 방역 실무를 맡고 있는 현 상황에선 제대로 된 감염병 관리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실제 이번 고양이 감염건도 농식품부에 신고 접수, 서울시 등 지자체에서 방역을 진행하고 있으나, 동물보호소 현황이 명확히 파악되지 않고 조사를 거부하는 기관도 있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고 밝혔다. 

김경욱 기자 kimkw@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