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위 미래수산특위 소비자 인식 설문조사

[한국농어민신문 조영규 기자] 

소비자들의 수산물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의 영양학적 가치에 높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아직 수산물을 포함한 모든 수산식품을 일컫는 블루푸드의 인식은 낮은 상황. 식생활 교육을 통해 블루푸드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75% “수산물 좋아한다” 응답 건강증진 효과·영양학적 가치 잘 알아

대통령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내 미래수산특별위원회는 지난 6월 5일부터 23일까지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블루푸드 소비자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미래수산특위는 ‘블루푸드 소비생태계 조성방안’을 핵심 의제로 선정한 가운데 이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수산물을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75%(1495명)로 나타났다.

수산물 섭취를 통한 건강 증진 효과는 ‘심혈관 질환 예방’이 67.8%로 가장 많았고, ‘비만 감소 등 체중조절’이 41.6%, ‘면역력 개선’이 31.4%, ‘근감소증·노쇠 예방’이 19.8% 등으로 그 뒤를 이었다. 수산물 정보를 묻는 질문에도, ‘수산물 식단은 영양성분이 풍부해 건강에 이롭다’에 응답자의 86.2%, ‘임신부, 수유부는 오메가3계 지방산 함량이 높은 수산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에 78.1%, ‘내 건강을 위해 평소 식생활에서 수산물을 많이 섭취해야 하다’에 77.0%가 각각 ‘동의한다’고 답했다. 그만큼 수산물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이런 평가가 수산물을 이미지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71.4% “블루푸드 용어 못 들어봤다” 다양한 플랫폼서 정보 제공해야

반면, ‘블루푸드’ 용어를 ‘못 들어봤다’고 답한 비중은 71.4%로 조사됐다. 블루푸드가 수산물은 물론 수산물로 만든 식품까지 통칭하는 용어임에도, 수산물의 호감도가 높은 것과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인 48.1%가 ‘블루푸드 정보가 TV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쉽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것을 두고, 미래수산특위는 ‘국민들이 블루푸드의 영양학·환경적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언론, SNS, 온라인 플랫폼 등을 활용한 정보 제공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나타냈다.

블루푸드에 강조돼야 하는 이미지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수산물’(63.3%), ‘친환경으로 생산된 수산물’(32.3%), ‘기후변화, 식량위기 시대에 적합한 지속가능한 수산물’(29.8%) 등이 조사, 추후 마케팅에 활용할 만한다.

 

식생활 교육 경험자 선호도 더 높아수산물 접점 확대해야 소비 증대

특히 이번 설문조사에선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식생활 교육 경험이 있는 소비자 중 ‘수산물을 좋아한다’고 답한 비중은 76.1%, 수산물 식생활 교육 경험이 있는 소비자 중엔 79.4%가 ‘수산물을 좋아한다’고 응답했다. ‘평소 수산물을 접할 수 있는 접점을 확대하는 것이 수산물 소비 증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미래수산특위의 분석이다.

좀 더 들여다보면, 식생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95명 중 수산물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 교육을 받은 소비자는 287명(26.2%)으로 적다. 때문에, 응답자들이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양한 수산물을 경험하고 싶다’(73.6%)고 말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블루푸드 식생활 교육 기회가 생긴다면, 어떤 교육을 받고 싶은지에 대해선 ‘수산물 요리 및 먹기’(36.0%), ‘섬·어촌, 갯벌 체험’(18.7%), ‘수산물의 품질·위생·안전성’(16.3%)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향후 수산물 식생활 교육과 더불어 블루푸드 식생활 교육을 추진할 시 이 또한 검토 대상이다.

김도훈 미래수산특위원장(부경대 교수)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서 블루푸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소비자가 있긴 하지만, 수산물을 좋아하는 소비자가 많다는 점에서 볼 때 블루푸드를 포함한 수산물 식생활 교육이 수반된다면, 우리나라 블루푸드 소비가 확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학교급식 등 현장에서 식생활 교육을 펼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등을 위해 정부에 요청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