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 주요 내용은

[한국농어민신문 안형준 기자] 

‘푸드테크 산업 육성법’ 제정 
그린바이오 분야별 육성 지원

수출 유망품목 ‘K-브랜드’로
‘1억 달러 수출’ 20개로 확대

해외 우수 한식당 식재료 공급
김치 등 전통식품 활성화 추진
농업-식품 간 상생협력 구축도 

정부가 국내 식품산업을 글로벌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푸드테크와 그린바이오 기술 활용, 수출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케이-푸드(K-Food)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4차(2023~2027)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목표는 산업 성장과 수출 확대, 농업 연계 등 크게 세 가지다. 식품 산업의 규모를 2021년 기준 656조원에서 오는 2027년까지 1100조원으로 늘리고, K-Food 수출액도 2022년 기준 88억2000만 달러에서 2027년 150억 달러로 높일 계획이다. 또 국산 원료 사용량을 2021년 기준 594만톤에서 2027년 800만톤까지 확대해 농업과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대 추진 전략과 과제를 제시했다. 5대 추진 전략은 △첨단기술을 통한 식품산업 성장 도모 △K-Food의 경쟁력 강화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식품산업과 농업 간 연계 강화 △식품산업의 성장 기반 공고화 등이다. 

첨단기술을 통한 식품산업 성장은 푸드테크와 그린바이오가 중추 역할을 할 예정이다. 지역 단위 푸드테크 산업 생태계와 해외 수출 거점을 조성할 방침인데 이를 위해 올해 중에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중 지역별 특화 분야를 선정해 지역 내 산·학·관 간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그린바이오의 경우 분야별 거점을 중심으로 기능성식품과 고령친화식품 등 신식품 산업 육성 지원을 강화하고, 분야별 육성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K-Food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라면과 배 등의 수출 유망품목을 K-브랜드로 육성하고, 2022년 기준 11개인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을 20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배와 딸기, 포도 등에 대해 수출국이 선호하는 신품종을 발굴하고, 마켓테스트와 유통채널 입점 등을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수출통합조직을 중심으로 공동포워딩을 통해 물류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높아진 한식의 인지도를 내수와 관광, 수출까지 연결하고 국가별 차별화된 브랜딩 전략을 담은 한식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도 수립할 계획이다. 또 해외의 우수 한식당을 지정하고, K-Food 식재료 공급망도 구축할 방침이다. 

전통식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치의 경우 종주국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원료공급 단지를 조성하고, 배추와 무 우수 품종(5종)을 개발하며 2027년까지 김치 종균 60종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최근 많은 소비자에게 인기가 높아진 전통주의 경우 자금과 컨설팅, R&D 등의 창업지원을 확대하고, 다양한 소비 방법을 개발해 MZ세대로 소비 기반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주요 외교 행사에서 전통주를 활용하는 ‘건배주 프로젝트’와 고급 패키징 지원 및 해외 한식당과 연계해 수출 확대를 추진한다. 장류도 발효 과학화를 통해 소스 산업으로 육성한다. 2027년까지 종균 33종을 개발해 보급하고, 기능성 규명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농업과 식품기업 간 지속가능한 상생협력 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원료중계 플랫폼 구축을 검토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해 포상하는 등 확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 원료 생산단지를 확대한다. 밀 생산단지는 2022년 기준 51개소에서 2027년까지 100개소로, 콩 생산단지는 2022년 기준 122개에서 2027년까지 22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가루쌀 생산단지도 2023년 기준 38개소에서 2027년까지 200개소까지 늘릴 계획이다. 국산 원료의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산 원료 사용 우수기업에게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금리 인하와 정부 포상을 추진한다. 

식품산업의 성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인력과 자금, 원재료와 R&D 등 다양한 경원지원 활동을 펼친다. 악화된 식품업계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력 고용 규제를 완화하고, 전문인력 양성 및 청년 인턴을 지원한다. 또 원료매입과 시설현대화 등의 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식품 품질과 안전성 제고를 위한 R&D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EU의 공급망 및 환경 관리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기업의 ESG 경영을 가인드라인 마련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식품부가 추진하는 푸드테크와 그린바이오 관련 정책에 대해 아직까지는 개념이나 내용이 생소하다보니 현장에서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식재료를 사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산업과 융합을 통해 식품산업의 규모를 확대하면 더 많은 이익이 발생하고, 향후 성장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정책이 잘 시행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안형준 기자 ahn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