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가 역대 최대 폭으로 줄었다. 정부가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인은 1만2660명, 귀농가구는 1만2411가구로 2021년 대비 각각 12.5%, 13.5% 줄었다. 귀촌인의 경우 42만1106명, 귀촌가구는 31만8769가구로 15.0%, 12.3% 감소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4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주택거래량도 크게 감소하면서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2020년과 2021년에 코로나19 장기화로 귀농·귀촌 인구가 2년 연속 증가한 후, 지난해 도시지역의 경기가 회복되면서 하향 조정된 것으로 보았다.

농식품부는 이런 감소에도 향후 베이비부머(55~63년생) 등 은퇴 연령층 증가,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로 귀농·귀촌 흐름은 견고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지만, 현실은 낙관하기 어렵다. 귀농·귀촌 인구감소가 코로나 일상 회복, 국내 경기 상황과 맞물려 있긴 하지만, 그런 외부적 요인으로만 설명해서는 문제를 풀기 어렵다.

귀농·귀촌은 시골 살이에 대한 관심이나 로망, 그리고 정부나 지자체가 주는 혜택만으론 한계가 있다. 중요한 것은 농사를 지어 생활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농업소득이 겨우 연 949만원으로 30년 전 수준으로 떨어지고, 난방비를 비롯한 생활비가 폭등하는 터에 귀농·귀촌은 주춤할 수밖에 없다.

귀농·귀촌이 지속되려면 농민들이 농사지어 생계를 이어 가도록 소득을 안정시키는 게 우선이고, 의료, 복지,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귀농·귀촌정책을 비롯한 어떤 농정도 소득안정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는 점을 상기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