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엽 전북연구원 연구위원

[한국농어민신문 조영규 기자] 

최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농어촌 소외지역 등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6월 9일 한국교통공단은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동권 제약을 받는 지역 주민들의 편리하고 부담 없는 대중교통 서비스가 절실하다”며 “DRT 서비스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최근 농어촌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농어촌 지역의 교통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개선과제는 무엇이 있을까? 
 

발판 낮아 휠체어 등 타고 내릴 때 편해야중소형 버스가 수익성 높을 듯

김상엽 연구위원

전북연구원의 김상엽 지역개발연구부 연구위원(교통공학박사)은 우선 ‘농어촌 맞춤형 저상버스 보급’을 제안했다. 농어촌 주민은 상당수가 고령화인 만큼 교통 약자가 많다. 휠체어를 타는 주민을 포함, 이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토록 하기 위해선 저상버스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정부는 올해 1월 19일부터 노후화된 버스를 새로운 차량으로 교체하는 경우 저상버스를 의무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이때 대상에는 시내버스·마을버스와 함께 농어촌 버스도 포함된다. 그러나 아직 눈에 띄는 변화는 보이지 않는 게 현실이다. 

김 연구위원은 “농어촌에는 노인들이 많기 때문에 버스 발판이 낮아 타고 내릴 때 편해야 하는데, 그 대안이 저상버스”라며 “특히 농어촌은 이용객이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서, 대형 버스보단 중소형 버스를 보급하는 것도 수익성면에서 고민해 볼 만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물류 서비스’의 결합도 재차 강조했다. 그간 농어촌 교통 개선을 위한 과제로 ‘물류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김 연구위원. 그에 따르면, 농어촌 주민의 생산품이 시장으로 가기 위해선 화물 운송이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농어촌 지역에선 이를 나를 수 있는 운송 수단이 부족하다. 때문에, DRT를 비롯한 농어촌을 운행하는 버스가 이 역할을 대신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김 연구위원은 “버스를 탈 때 짐을 가지고 탄다고 돈을 지불하지 않지만, 비행기를 탈 땐 수화물 비용을 낸다”며 “이처럼 장기적으로는 생활 물류와 관련된 법을 바꿔서 사람이 타지 않아도 버스에 물류를 실어 보낼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농어촌 버스의 물류 서비스를 위해선 미래지향적으론 보관 기술도 필요하다”면서 “농어촌 물류의 대부분이 농수산물이기 때문에 냉장·냉동 보관이 중요하고, 여기에 패키징 기술까지 더해진다면, 물류 서비스가 한층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버스 카드 이용률을 높일 것도 제시했다. 이는 농어촌 버스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해당 지역에 맞는 교통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라는 게 김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농어촌에선 어르신들이 버스를 탑승할 때 버스카드보단 현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버스 운행 실적이 카드 데이터를 통해서 축적되고, 이를 기반으로 운행 시간과 노선 등을 기획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 버스 카드 이용을 위한 교육 등이 수반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조영규 기자 choyk@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