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최영진 기자] 

갈등을 해결하는 데 있어 소통의 중요성은 언제나 강조된다. 소통을 통해 서로 다른 입장차를 좁히기도 하고 전후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상대방으로부터 약간의 이해를 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구태여 소통의 중요성을 되짚은 것은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GMO 주키니호박 유통 및 정부 부실대처에 의한 소비자·농민 피해 대책 간담회’가 아쉬워서다. 

이날 간담회가 의미 있던 것은 3월 26일에 불거진 LMO 주키니호박 사태에 대한 정부 당국자들의 답변을 직접 들을 수 있다는 데 있다. 정부 보상안과 대책 마련이 늦어지면서 답답해하는 피해자들이 많았고, 농민·시민단체들은 국회와 농식품부 등으로 자리를 3차례나 바꿔가며 당국자들에게 답을 요구했다. 그래서 강은미·윤미향 국회의원은 이를 위한 자리를 마련했고, 생계 등의 이유로 국회로 향할 수 없는 농민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는 유튜브로 시청할 수 있게 준비했다. 

하지만 시청자들에게는 이번 간담회 생중계가 반쪽 행사에 그쳤다. 유튜브 생중계 송출 여부를 놓고 정부 당국자들이 갑작스레 중단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튜브 생중계로 간담회를 시청한 농민 등은 진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정부 측의 토론 발언 시 비공개로 전환되는 것을 보고 “이럴 거면 정부는 간담회에 왜 참석했냐”, “진정성 있는 대처를 입증할 수 있는 기회인데, 왜 발언을 송출하지 않냐” 등의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국립종자원과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대책 등이 발표되기 전이라는 이유로 입장 및 발언이 공개돼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주최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현실적인 측면에서 이해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LMO 주키니호박 사태가 불거지면서 종자 등록·개발부터 생산, 소비까지 허점이 드러난 상황에서 대표자로 나서기가 곤란하거나 부담스러웠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인한 피해자들은 여전히 한 달에 가까운 시간동안 그대로 머물러 있다. 출하가 중단된 시기에 일부분 보상이 이뤄진 것 외에는 여전히 이렇다 할 구체적인 대응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이번 사태는 정부의 귀책사유도 분명히 있다. 국내 미승인 LMO 주키니호박 종자가 검역을 통과했고 개발에 정부 지원이 이뤄지면서 8년 동안 유통된 데는 이를 관리하는 체계가 미흡했기 때문이다. 마냥 기다리라고 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정부의 의지는 어느 정도인지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다. 

최영진 농산팀 기자 choi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