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주현주 기자] 

0.78명 기록, 전년대비 0.03명↓
통계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
OCED 평균의 절반도 못 미쳐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OECD 평균 합계출산율(1.5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12월 인구동향’과 ‘2022년 출생·사망통계 결과(잠정)’을 지난달 22일 발표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년대비 0.03명 감소했다. 이는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 2020년을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다.

국내 합계 출산율은 1974년(3.77명) 4명대에서 3명대로, 1977년(2.99명) 2명대로, 1984년(1.74명) 1명대로 떨어졌다. 2018년(0.98명)에는 0명대로 떨어졌고 이후에도 2019년(0.92명), 2020년(0.84명), 2021년(0.81명)으로 계속 하락세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0.59명)이 가장 낮았으며, 이어 부산(0.72명), 인천(0.75명) 순이었다. 합계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1.12명), 전남(0.97), 강원(0.97) 순으로 조사됐다.

연간 혼인 건수는 2년째 20만 건을 밑돌았고 처음 엄마가 되는 평균 나이는 33.0세로 전년대비 0.2세 상승해 OECD 평균인 29.3세보다 네 살 가까이 많았다.

또한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12만3800명이 자연 감소했다. 이는 출생아 수는 24만9000명에 그쳤지만 사망자 수는 37만2800명에 달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인구 자연 감소폭이 재작년보다 눈에 띄게 늘어난 이유는 출생아 수 감소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망자 수가 급증한 영향도 컸다.

출생아 수는 2021년 26만600명에서 2022년 24만9000명으로 일 년 동안 1만 명가량 줄었지만, 같은 기간 사망자 수는 31만7700명에서 37만2800명으로 5만5000명 가량이 늘었다. 이에 따라 국내 인구는 2020년 사상 첫 자연 감소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게 됐다.

주현주 기자 joo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