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석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한국농어민신문] 

11월11일은 27번째로 맞는 농업인의 날이다. 우리농업과 농업인의 소중함을 돌아보는 날로 농민들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키고 농업의 중요성을 되새기자는 취지의 법정기념일이다. 기념일 27년이 지난 현재의 농업인은 221만명으로 기념일 제정년도인 1996년 469만명 대비 248만명, 47%가 감소해 농촌 소멸을 실감케 하는 수치다. 더군다나 청년농업인은 2000년 9만명에서 2020년 1만2천여명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농업경영주 65세 이상 비율이 56%를 넘어서고 앞으로도 고령화가 지속되는 여건에서 농촌소멸의 유일한 대안은 청년농업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청년농 유입을 위해 영농정착지원사업을 2018년부터 5년 동안 실시하여 8,600명을 선정 지원하였으며, 한국농수산대학교를 비롯한 농업계 학교와 청년 스마트팜 보육센터 등 농업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하여 청년농의 감소세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나 40세 미만 청년경영주 비율이 1.24%로 아직 갈 길은 멀다.

최근 경제와 사회적 변화 속에서 농업에 대한 관심 확대와 ICT 기반의 스마트농업이 확산되면서 많은 청년들이 농업에 관심을 갖고 있으나, 높은 초기투자 부담, 창업 후 단기간 내 정착 어려움, 도시 대비 취약한 농촌 인프라 등은 젊은 인력의 진입을 저해하는 요인들로 풀어야할 문제들이 산재하다.

새정부에서도 농림축산식품부의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보면 2023년부터 2027년까지 청년농 3만명 육성을 목표로 영농정착지원사업 선정 규모를 확대(`22년 2,000명→4,000명)하고, 정착지원금도 100만원에서 110만원으로 인상, 청년농 대상 농지 공급물량도 대폭 확대, 융자지원에 있어서도 지원한도를 최대 5억원, 상환기간을 15년에서 25년으로, 금리도 1.5%로 조정한다. 특히 인프라 조성을 위해 먼저 주거 안정 지원으로 ‘청년농촌보금자리’ 임대주택단지 조성을 확대하고, 농촌 특화 돌봄 서비스 확대, 청년 네트워크 및 지역 안착을 위한 커뮤니티 지원도 확대해 나간다.

도시의 청년 고용사정 악화, 워라밸을 중시하는 MZ세대의 청년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저밀도 농촌지역 거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이 우리 농업 분야에는 기회이다. 정부의 계획에 발맞취 지자체와 유관기관에서도 청년들의 안정적인 농촌정착을 위한 인프라 조성과 아낌없는 지원으로 농촌에서도 아기 울음소리가 들리고 어린이가 뛰노는 모습을 보고 싶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