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모 전북연구원 연구위원

[한국농어민신문] 

푸드플랜에 디지털 전환 접목 본격화
기술 개발·공급만으로 구조 변화 어려워
기술-사회 같이 진화하도록 고민해야

우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적기에 먹거리를 공급하는 모델’이 갑작스런 수요증가와 공황구매에 작동하지 않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동 제한과 먹거리 공급이 중단되자, 사회적 취약계층의 먹거리 취약성이 얼마나 커졌는지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전략으로 ‘푸드플랜’에 주목하게 됩니다. 푸드플랜은 먹거리의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시정하기 위한 실행전략입니다. 먹거리를 둘러싼 사회문제가 커지는 상황에서 사회혁신 관점에서 푸드플랜에 대한 발전적 논의가 필요한 때입니다.

우리가 주목하고 있는 ‘푸드플랜’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혁신’의 주요한 정책수단이자 실행전략입니다. 한편에서는 ‘과학기술’을 활용한 먹거리 공급망에 대한 진전이 주목할 만합니다. ‘디지털 전환’의 영역에서 혁신적인 실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미있는 혁신기술이지만, 쟁점 또한 많습니다. 푸드플랜에 있어 ‘사회기술’과 ‘과학기술’을 어떻게 적용하고 결합시켜 나갈 것인가가 주요 이슈입니다.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해서 비즈니스 영역에 통합·적용하여 사업을 하고 가치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정의됩니다. 아날로그식 상호작용을 디지털 공간으로 전이시키는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신기술을 접목하여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과 의사결정 방식을 진화시키는 흐름이라는 것이 보편적 이해입니다. 디지털 전환의 실체는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다양합니다. 세계적으로 ‘Industry 4.0, Society 5.0’ 등 논의가 다양합니다.

‘디지털 전환’의 논의 속에는 여러 쟁점이 있습니다. 첫째, ‘과학기술과 사회기술’의 혁신과 전환이 지속가능한 사회의 지향과 어떻게 연계될 것인가라는 점입니다. 둘째, 사회적으로 복잡성이 증가하여 ‘보안위험과 정보보호’ 등에 부정적 요인이 된다는 지적입니다. 셋째, 디지털 전환의 ‘원천기술 소유권’이 어느 주체에 있고, 혁신활동의 부가가치가 누구에게 귀속되는가가 쟁점입니다. 그래서 디지털 전환이라는 사회혁신의 과정에서 주도하는 세력 또는 주체의 힘으로 수렴될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전환 기술을 푸드플랜과 연계하는 실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주요 이슈가 있습니다. 첫째, ‘먹거리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이슈입니다. 주로 공급사슬을 디지털 자원으로 ‘스마트 먹거리 체계’를 구축하자는 것입니다. ‘스마트 푸드체인’이라는 이름으로 ‘입구에서 출구’까지 정보를 연계하고 집적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생산은 고도화, 판매는 부가가치화, 유통은 최적화하는 것을 상정합니다. 공급사슬에서 생산-유통-소비의 ‘수직연계’, 사업자 간 ‘수평연계’를 통해 정보 데이터를 공유하여 이익을 얻는데 중점을 둡니다. 그러나 ‘지역과 경쟁의 범위’를 벗어나는 정보공유 메커니즘이 가능한지, 스마트 푸드체인을 작동시킬 공적 플랫폼의 역할이 무엇인지 쟁점이 많습니다.

둘째, ‘공공 먹거리 공급모델’에서 이슈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 시군구 단위로 먹거리의 생산-공급-유통-소비체계를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그러나 특정 지역만으로 먹거리 체계의 완결성을 갖추는데 한계가 큽니다. 그래서 광역 단위로 관련 정보와 자료를 통합하여 먹거리 체계를 연계해 나갈 준비가 본격화되었습니다. 학교급식, 공공급식, 직매장을 중심으로 식재료의 생산정보와 급식현장의 수요정보를 연계하자는 것입니다. 이른바 ‘먹거리 통합정보 시스템’의 개발이 그것입니다. 먹거리 전략에 있어서 실효적인 의사결정이 기대됩니다. 반면, 공공주체가 플랫폼을 어떻게 운영할지, 여러 주체가 정보와 데이터를 어느 수준에서 공개하고 활용할지, 타 지역 식재료 조달이 지역내 생산조직화를 저해할지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셋째, ‘먹거리 나눔 영역’에서도 이슈가 있습니다. 이용되지 않은 남는 먹거리를 기부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있어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유럽에서는 ‘먹거리 공유 플랫폼’을 민간 영역에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먹거리 공유자로 등록 가능합니다. 모바일 기반으로 나눔 먹거리의 상태와 재고량을 보여주고, 실시간 필요자와 소통하는 시스템입니다. 행정이 재정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먹거리 지원을 확대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효과가 큰 방안입니다. 개별 시민들이 먹거리의 ‘공유자, 수요자’로 참여하기 위한 사회적 여건과 디지털 이해력이 중요한 과제로 지적됩니다. 또한 민간조직이 시스템을 구축하고 비영리 방식으로 운영하는데 있어 재정적 어려움이 많습니다.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을 먹거리 체계에 적용하는 시도가 본격화되었습니다. 그러나 ‘기술개발, 기술공급’으로 구조를 변화시키는 쉽지 않습니다. 사회경제적 과정에 대한 과학적 통찰력과 기술적 지식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성과가 만들어 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회문제해결은 ‘기술’과 ‘사회’가 같이 진화한다는 ‘공진화(共進化)’ 프레임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요컨대, ‘기술’만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이뤄낼 수 없습니다. 기존 혁신론 영역 밖에 있던 ‘사회기술’이 바로 혁신의 자원이자 혁신활동의 토대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우리 사회의 책임있는 많은 논의를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