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이병성 기자]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한국농어민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디지털·스마트 농업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농업을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내년에는 올해보다 예산을 증액해 식량주권 강화, 농촌활성화에 더욱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한국농어민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디지털·스마트 농업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농업을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내년에는 올해보다 예산을 증액해 식량주권 강화, 농촌활성화에 더욱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농업 선진국으로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농촌진흥청은 농업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농업·농촌의 미래에 농촌진흥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농촌진흥청이 1962년 식량 증산을 목적으로 개청해 지난 60년 동안 녹색혁명과 백색혁명, 농산물 품질혁명 그리고 최근 스마트농업 기술혁명으로 이어지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농업발전 기적을 만들었다고 했다. 이에 조재호 청장은 지난 9월 1일 개청 60주년 기념식에서 ‘농업혁신 60년, 국민 행복 100년’을 강조한 바 있다. 

조재호 청장은 특히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정치, 경제, 사회 등 거대한 변화 속에 농업·농촌이 미래에 대응해야 한다”며 “미래농업은 생산-유통-소비 등 식품 가치사슬 전 단계가 초연결되고,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농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농업과 농촌의 미래를 여는 역할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본청(전주혁신도시)에서 조재호 청장과 인터뷰를 갖고 농촌진흥청 60년 성과와 농업·농촌의 미래를 위한 농업기술 연구개발·보급의 혁신 방향을 들어봤다. 

디지털 전환·그린바이오 육성 등
농업과학기술 중장기계획 수립
국가 농식품 R&D 전략 연계
농업 신성장 기반 마련 박차


-농업부문 연구개발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개선 방향은. 

“국가 농식품 R&D 중장기 전략과 연계해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방향을 개편할 계획이다. 이에 2023~2032년 10년 동안 시행하는 ‘제8차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 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번 8차 중장기계획은 디지털 전환, 그린바이오 육성, 기후변화 탄소중립, 식량안보, 농업·농촌 활력, K-농업 확산 등 6대 전략목표를 설정해 놓고 있다. 

따라서 국가 임무 중심의 R&D 전략을 재설정하고, 개방형 연구 생태계 구축과 함께 현장 중심의 성과, 그리고 자율과 창의적 연구환경을 조성하는 등 혁신과제를 추진하겠다. 또한 푸드테크, 자율주행농기계, 새로운 작물보호제, 그린바이오 팩토리, 우주 농업 등 장기 도전형 연구를 추진해 세계적인 학술성과를 내면서 농업 신성장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 

밀·콩 신품종 연구, 자급기반 강화
4만2000ha 분질미 재배지 전환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확대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농촌진흥청의 중점 과제는. 

“쌀 소비 다양화와 수급 안정화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할 것이다. 우선 자급률이 낮은 밀과 콩의 논 활용 기술 및 신품종 연구를 통해 자급기반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밀가루를 대체하는 쌀가루 가공산업 기반도 구축하겠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밀의 경우 면·빵 등 용도별 고품질 품종 개발 보급과 병행해 이모작 작부체계가 확대되도록 전문 생산단지를 지원할 것이다. 콩 또한 다수성 주산지 적응형 신품종 및 재배기술을 개발하고 ‘밀과 콩’ 작부체계를 보급하겠다. 특히 쌀가루 활성화를 위해 2027년까지 일반 쌀 재배지 4만2000ha를 분질미 재배지로 전환해 수입 밀가루 소비량 중에서 20만톤을 쌀가루로 대체하겠다.” 

-농업·농촌에서도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 탄소저감 기술 개발과 현장 보급이 필요한데.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따라 농축수산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2018년 2470만톤 대비 37.7%인 930만톤을 감축해 나가야 한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관련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농축산 분야 온실가스 통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고유 배출과 흡수 계수를 개발하고 있다. 2021년 38종(경종 32종, 축산 6종)을 개발했고, 2027년까지 60종으로 확대내 나갈 계획이다. 

탄소 발생을 줄이는 논 물관리 기술, 적정 비료 사용기준 설정, 소 사육기간 단축 및 저메탄 사료 개발, 가축분뇨 에너지화 등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을 확대하겠다. 저탄소 농업기술 21종 개발 및 영농 현장 기술지원을 강화하고, 적정 비료 사용기준 작물을 2021년 226개에서 2026년 246개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농경지 탄소 저장 능력 향상과 신규 흡수원 발굴 등과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 

-과수화상병 등 농작물 병해충을 줄이기 위한 방제대책은.

“지난 2015년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과수화상병은 지난해부터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신속 정밀진단을 통한 사전 제거 및 개화기 방제기술, 생육기 재배관리를 통한 경종적 관리기술 등 종합방제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 등의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제 및 박테리오파지 등을 발굴해 시험방제해보니 효과가 확인됐고, 과수원 환경 등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있다. 현장 농업인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종합 방제기술을 보급해 나가겠다.” 

-고령화 등 농업인력 문제에 대응해 청년농업인 육성이 절실하다. 어떻게 추진하고 있나. 

“국정과제에 ‘혁신을 선도하는 청년농업인 육성’이 들어가 있다. 정책사업을 통해 유입된 청년농업인에 대한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창업 농업인 경쟁력 제고사업을 지난해 40개소에서 올해 160개소로 확대해 시행하고 있고, 신규 사업으로 선도 농가 기술이전 모델화 사업(8개소), 청년 농업인 협업공간 조성사업(3개소)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똑똑청년농부’ 운영을 통해 영농 준비, 정착, 기술창업 등 농업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청년  4-H 회원을 확대하겠다.” 

드론·자율주행·농업작업 로봇 등
첨단기술로 농작업 편리하게
생산성도 높여 농가에 도움 기대
 

-스마트농업을 통해 무엇을 기대할 수 있나. “스마트 농업기술은 기후변화, 고령화, 식량문제, 농촌소멸 등에 대응해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하는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드론과 자율주행, 농업작업 로봇 등을 활용한 스마트농업은 자동화 기술로 농작업은 한층 편리해지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농업의 생산성 증대 효과를 보니 토마토 13.7%, 딸기 30% 등으로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자율주행 벼 이앙기로 노동력을 50% 줄일 수 있고, 드론으로 방제노력 87% 절감하면서 농약 비산량은 3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 착유기 국산화로 외국산 대비 설치비를 60%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교육장을 조성해 나가고 담당자 교육 및 농업현장 컨설팅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렇다면 스마트농업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 궁금하다. 

“농촌진흥청은 첨단기술과 접목한 농기계 자동제어 기술에서부터 인공지능 자율주행 트랙터, 스마트 로봇 방제기 등 지능형 농업기계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미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노지 데이터의 수집 및 지능형 농작업기 개발 등 미래 농업기술 실현에 앞장서겠다. 농작업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0(원격제어), 레벨1(자동조향), 레벨2(자율주행), 레벨3(자율작업), 레벨4(무인자율작업) 등으로 발전하는데, 선진국(레벨 3~4단계) 수준으로 도약해 나가겠다. 

노지는 물론 시설온실, 축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기술을 개발해 인력으로 힘겨운 농작업을 대체해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이바지 하겠다. 이를 위해선 연구개발에서 그치지 않고 농업현장에 적용돼야 하고, 농업로봇 전문인력 양성, 농기계 업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 첨단농기계 산업화 기반 확보에 노력하겠다.”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특화작목 산업화 사례와 추진 방향은.

“충남의 설향 딸기가 대표적인 지역특화작목 육성 성공사례로 꼽을 수 있다. 국가와 지역의 산학관연 연구개발 협력을 통한 우수 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보급으로 국가 브랜드 작목 및 수출 효자품목으로 성장했다. 또한 경기도 선인장과 다육식물, 전북 파프리카, 전남 참다래, 경남 화훼 등 지역 브랜드 작목으로 성장한 우수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은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대응 주체로 거점연구기관을 육성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 걸쳐 46개소의 특화작목연구소가 설치돼 운영되고 있고, 앞으로도 유망 지역특화작목 육성과 성공사례 확산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 균형발전,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겠다.” 

-농촌진흥청의 2023년 예산안이 1조2525억원으로 올해보다 5.3% 증액됐는데, 내년에 중점을 두고 있는 과제는.

“올해 예산인 1조1893억원보다 632억원 늘어난 1조2525억원의 예산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했다. 연구개발 부문이 올해 7133억원에서 7604억원으로 6.6% 확대했고, 기술보급은 2514억원에서 2594억원으로 3.2% 증액했다. 인건비는 1623억원에서 1629억원으로 0.4% 늘었다. 

이 같은 2023년 예산안을 토대로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과 식량주권 강화,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등 국제과제 이행을 지원할 것이다. 또한 농촌 활성화 및 현장 지원 강화 등 현안문제 해결과 한국농업기술의 세계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병성 기자 leebs@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