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안형준 기자] 

정부가 제3차 전통주 산업발전 기본계획(2023~2027) 수립을 앞두고 전통주 업계의 현안을 점검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한 ‘2022년 전통주 산업발전 포럼’이 여섯 번의 회의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회의에서는 전통주 개념과 현행 과세체계, 전통주 연구의 현장 연계성 부족과 교육 및 창업 인프라 부족 등 다양한 문제들이 거론됐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정부와 업계 간 활발한 토론이 진행됐다. 전통주 개념 재정립 같은 문제는 업계가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나머지 문제의 해결과 더 나아가 업계 활성화를 위해선 반드시 정부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는 게 업계 의견이었다. 

수많은 주종에 따라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전통주 업계가 모처럼 한목소리로 정부에 전통주 업계 활성화를 위해 예산 투입을 요구했지만, 2023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안을 살펴보면 업계 의견은 반영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도 농식품부 예산안 중 전통주 관련 예산이 2022년도 28억5000만원에서 1억원 삭감된 27억5000만원으로 책정됐기 때문이다. 

전통주 관련 정부 예산은 2018년 39억9000만원에서 2019년 31억7000만원, 2020년 30억2000만원, 2021년 27억8000만원, 2022년 28억5000만원 등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정부 예산은 줄고 있지만 반대로 전통주 산업 규모(국세청 전통주 출고 금액 기준)는 2020년 627억원에서 2021년 941억원으로 315억원 증가했다. 전통주가 국내 전체 주류 판매량 중 차지하는 시장 점유율도 수년간 1%대의 벽을 넘지 못하다가 2021년에 처음으로 1%를 달성했다. 

정부가 전통주 관련 예산을 삭감하는 상황에서도 전통주 산업 규모를 넓힐 수 있었던 건 업계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물론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인터넷 판매가 가능했던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히지만, 업계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등 도전을 했던 게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모처럼 전통주 산업이 젊은 세대의 소비에 힘입어 재도약하고 있고, 주류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1%를 달성한 상황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전통주 산업 확장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하더라도 정부의 재정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또다시 공염불이 되고 말 것이다. 부디 정부가 전통주 산업의 육성 의지가 조금이라도 남아있다면 전통주 관련 예산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증액하는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안형준 식품팀 기자 ahn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