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선진 중앙대 교수

저가치킨은 대형마트의 미끼상품
저가에 사먹은 소비자가 승리자는 아냐
닭고기산업 생태계 헤아려보면 어떨까

최근 대형 유통업체가 내놓은 5000~9000원대 초저가 치킨이 소비자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그 불똥이 치킨 프랜차이즈업체와 동네 치킨집으로 확대되는 모양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마트에서는 5000원에도 파는데 왜 동네 치킨집은 2만 원이나 하냐고 생각하는 소비자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치킨 가격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구조와 이해관계가 얽혀 있음도 알아야 한다. 대형마트에서 파는 저가 치킨은 유통업체가 일명 미끼 상품 또는 마케팅 목적으로 내놓은 것일 뿐 뚜렷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형마트는 이미 전국적인 유통망과 매장을 가지고 있고, 배달관련 각종 수수료, 임대료, 인건비 등 초저가 치킨만을 위한 고정비용이 거의 없다.

아마도 대형유통업체는 마리당 3000원 정도에 대량으로 닭은 구매한 뒤 이미 있는 매장과 매대에서 대량으로 구매한 저렴한 기름에 튀길 것이고, 제품도 프라이드와 양념 한 두 종류만 간단하게 만들어서 음료 없이 치킨만 판매할 것이다. 이에 반해 프랜차이즈 매장 또는 동네 치킨집은 본사로부터 10호 사이의 닭을 대략 5000~6000원 정도에 구매한 뒤, 여기에 각종 양념 등을 합하면 재료비가 약 9000원~1만 원이 넘고, 인건비, 임대료, 카드 수수료, 배달수수료, 포장비, 음료, 치킨 무 등 각종 비용에 세금까지 빼면 치킨제품 하나를 팔면 아무리 고급 메뉴라 해도 대략 1000~5000원 이상 마진을 남기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치킨 1개 팔아서 평균 3000원을 번다고 가정하면 하루에 100개를 팔면 30만 원을 버는 것이 되는데, 이 정도는 가장 인기 있는 K치킨 브랜드의 강남이나 분당점 등 수도권 황금 매장에서나 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의 동네 치킨집은 월 평균 100만~400만 원 정도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고, 대부분은 소비자들 생각처럼 폭리를 취하지는 못하는 구조다. 소비자가 마트에 직접 차를 타고 가서 줄을 서서 치킨만 5000원에 사는 것과 밤낮없이 집과 공원 어디든 치킨과 콜라, 맥주가 배달되는 치킨집을 같이 비교하는 것은 서비스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마트표 5000원짜리 치킨이 동네 치킨집을 누르고 승자가 될 개연성도 전혀 없지만, 설사 소비자들이 그토록 원하던 5000원짜리 치킨이 마트 어디에나 널려서 언제든 구매할 수 있는 상황에 이르면 분명 인기가 없어질 것이다. 배추 값이 올라가면 김치 소비가 늘고, 허니버터 스낵이 마트 어디에나 널린 지금은 인기가 예전과 같지 않은 것과 같은 이치다. 예상컨대, 조만간 마트 치킨의 인기는 시들해질 것이고, 미끼 상품으로써 약효가 떨어지면 판매가 중단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치킨집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이유는 맛도 맛이지만 맥주 문화와 함께 언제 어디서건 손쉽게 배달시켜 먹을 수 있는 배달 구조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마트 치킨이 동네 치킨집 서비스를 도입한다면 결코 5000~6000원에 가능하지 않을뿐더러 소비자들이 5000원 정도에 치킨 구매가 가능한 이유는 편리한 서비스를 포기하고 직접 찾아가서 줄을 선 노력을 뺀 값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마트 역시 5000원짜리 치킨을 계속팔면 인기가 시들 것이기 때문에 판매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마케팅 전략을 쓸 것이고, 소비자들은 값이 싸다는 이유로 굳이 오늘 먹지 않아도 될 치킨을 애써 줄서서 사먹고는 기뻐할 것이다. 나는 일명 애플식 고객 줄 세우기 마케팅에 결코 동참하지 않기 때문에 마트 치킨을 사먹은 모든 소비자가 승리자라는 결론에 선뜻 동의하지 않는다. 마트에 줄을 선 사람들이 치킨을 못 사먹을 정도의 빈곤층이 아니라 싸니까 추가로 사먹는 사람이 대부분이 아닌가 생각되기 때문이다.

전국에 치킨점은 7만~8만 여개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 다섯 곳 중에 한 곳이 치킨집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므로 가장 많이 창업하고 가장 많이 폐업하는 외식 프랜차이즈도 당연히 치킨집일 수밖에 없다. 또한 창업을 계획하는 사람들 역시 치킨집이 과열 경쟁하기 때문에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미 잘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한집 걸러 한집이 치킨집과 커피전문점인데, 누가 봐도 이들 장사가 미친 듯이 잘 될 리가 만무하다. 과거 미국 서부 골드러시 당시에 금으로 돈을 번 사람은 극히 일부이고, 실제로는 곡괭이, 청바지 또는 술을 판 사람들이 돈을 벌었다. 창업의 다양성과 색다른 접근이 절실한 시점이고, 새로이 들어선 프랜차이즈점이 성공하고 있다면 이는 결국 옆집의 손님을 뺏은 결과라는 사실 또한 알아야 한다.

치킨은 일명 10원짜리 싸움이라 할 만큼 마진율이 낮지만, 국내 일일 도계량이 거의 200만 수에 이를 만큼 판매량이 많다. 프랜차이즈 치킨 하나가 식탁에 오기까지 어림잡아도 육계회사, 위탁농장, 사료회사, 도축장, 유통업계, 프랜차이즈업계, 포장업계, 광고업계, 방송계, 연예계, 배달앱, 배달회사, 카드업계, 가맹점, 건물임대업 등 배후 연관산업이 마트 치킨에 비해 매우 크고 복잡하다. 눈에 보이는 치킨 한 마리 가격이 닭고기 산업의 전부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러므로 닭고기 산업 생태계를 보자면 마트 치킨 보다는 프랜차이즈 치킨이 경제 기여도가 높아 보인다. 그러나 주머니가 얇아진 소비자에게는 마트표 치킨의 기여도가 훨씬 높은 것 또한 분명하다. 현명한 소비자는 값이 싸니까 이참에 한 번 사먹어 보자는 심리 보다는 그냥 치킨이 절실히 먹고 싶은 상황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오히려 더 이익이 클 것이라 생각된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마트표 치킨과 경쟁할 필요가 없다. 원래 한국 시장은 폭발적인 인기가 결코 오래 지속된 적이 없고, 결국 소비자들은 다양한 배달 치킨의 편리함을 포기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최근 치킨 가격 싸움에서 뚜렷한 승자는 없고, 향후에도 그럴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입안으로 들어가는 것은 같으나 약은 생물학적인 목적만을 가진 물질이고, 식품은 그 속에 문화를 포함한 가치가 있다. 생물학적인 또는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치킨값 전쟁의 최종 승자는 값싼 치킨을 먹은 사람과 판 사람이 아니라, 좋은 사람과 마주앉아 치킨을 가장 맛나게 먹은 사람이 될 것이라 믿는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