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2021년 실태조사’

[한국농어민신문 주현주 기자]

전체 34만 6017가구 
만 9~24세 자녀 비중 43.9%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40.5%
국민 전체 평균보다 31%P 낮아

농촌 등 ‘한국어 교육’ 소외로
학업 성취 저하 이어진 탓 커 

청소년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이 늘고 있지만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은 전체 국민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지역의 다문화가족 청소년보다 농촌지역의 다문화가족 청소년은 한국어 교육 등 정책 이용률도 낮아 더욱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농촌에 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 확대 등 농촌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월 27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가구는 전체 34만 6017가구이며, 결혼이민자 가구는 82.4%, 기타귀화자 가구는 17.6%이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는 56.1%로 2018년보다 0.5%P 증가했으며, 동 지역 거주자는 76.8%로 읍면 지역 거주자 23.2%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이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만9~24세 자녀의 비중은 43.9%로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지만, 다문화가정 자녀의 취학률은 초등학교 95.3%, 중학교 95.7%, 고등학교 94.5%, 고등교육기관 40.5%로 전체 국민보다 모두 낮게 조사됐다. 특히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격차는 31%P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 같은 취학률의 격차는 다문화가족 어머니와 청소년의 한국어 구사 능력과 연관이 있었다. 지난 2020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사점’에 따르면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청소년의 ‘한국어 구사 능력’이었다.

특히 이 중에서도 도시 다문화가족 청소년보다 농촌 다문화가족 청소년은 정부 지원정책에서 더 소외되고 있었는데, 면 지역이나 도서벽지와 같이 지역규모가 작은 농촌에 사는 청소년은 한국어 교육 등 지원정책 이용률이 도시에 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보다 저조했다. 이에 따라 농촌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부족한 한국어 구사 능력은 학업성취도 저하로 이어져 결국 상급학교 진학과 진로형성에 장애 요인이 됐다.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지원정책 이용률이 낮은 이유에 대해 조승연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농촌 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남편과 함께 농업에 참여할 확률이 높으며, 일반가정 학부모보다 자녀 교육과 양육에 소홀할 가능성도 크고 농촌 지역의 경우 교육 접근성의 제약도 따른다”면서 “특히 농촌지역의 저소득 다문화가정의 경우 부모가 경제적 문제와 생업으로 인해 자녀교육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해 자녀의 학업성취와 진학에 관심을 두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한 유년기 맞춤형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확충, 농촌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 접근성 개선 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또한 한국어 교육뿐 아니라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어머니를 위해 한국사회제도, 관습, 문화 등을 다루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도 요구됐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정책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학령기 자녀 맞춤형 교육·돌봄 체계를 담아 올 연말 ‘제4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2023~2028)’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금순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장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이중 언어의 강점을 더욱 발전시켜 갈 수 있도록 이중 언어 인재 DB를 구축해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1411명 정도가 DB에 포함돼 있다”며 “이들의 자기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인재를 필요로 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 연계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현주 기자 jooh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