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민신문 김영민 기자] 

2022년 6·1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막을 내렸다. 전국 최종 투표율 50.9%에 시·도지사 17명, 구·시·군장 226명, 시·도의원 779명, 구·시·군의원 2601명, 광역 및 기초 비례의원 479명의 각 지역별 일꾼이 뽑힌 것이다. 선거 결과에 한 쪽은 축하의 꽃다발을 받았고, 다른 쪽은 아쉬움을 삼키며 앞으로 4년 후를 기약할지도 모른다.

언론에서는 박빙의 선거를 실시간으로 중계하거나, 투표차를 분석하며 당선과 낙선의 의미를 부여했다. 당선자나 낙선자 역시 당선과 낙선의 분석을 마치고, 큰 전투를 치른 후 찰나의 휴식과 동시에 지역의 현안들을 살피고 있을 것이다. 

유권자들은 이번 선거에서 자신의 지역을 위해 일할 참 일꾼이 누구인가를 심사숙고하며 선택했을 것이다. 그리고 선택을 받은 사람들은 유권자의 바람대로 지역을 위한 봉사와 헌신을 다짐해야 한다. 무엇보다 선거 이후 갈라진 지역 민심을 하나로 모으고 지역 내 필요한 정책들을 조속히 점검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특히 농촌지역에서 당선된 일꾼들은 이번 지방선거 이후 지역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그려야 할 작업이 있다. 바로 시행을 앞둔 고향사랑기부제 준비과정 점검이다. 현재 고향사랑 기부금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오는 6월 15일까지 입법예고된 상태다. 또 시행령 입법예고가 끝나면 행정안전부는 각 지자체가 제정할 조례에 참고가 되는 ‘표준조례’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고향사랑기부제가 성공할 수 있는 제일 첫 번째로 요인으로 지자체의 역량을 꼽는다. 이유는 조례제정부터 답례품 선정, 기부금 운영 등 제도시행의 핵심 열쇠를 해당 지자체가 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년 1월 1일 시행을 감안하면 약 6개월 내에 각 지자체는 모든 준비를 마치고 기부금 유치에 나서야 한다.

아직 한 번도 제도를 시행하지 못해 봤기 때문에 얼마의 기부금이 어떤 지역에 기부될지 전혀 모르는 상태다. “사실 깜깜이라고 볼 수밖에 없어요. (기부자의 기부금이) 어디로 갈지 전혀 알 수가 없지요.” 고향사랑기부제 취재 과정에서 통화한 한 전문가의 말이다. 

그래서 고향사랑기부제 시행을 위한 각 지자체의 준비과정은 더욱 치밀해야 한다. 특히 기부금을 유인할 수 있는 답례품을 선정하는 과정에 공을 들여야 함에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기부금을 유인할 수 있는 가장 원초적인 방법이 답례품이라는 얘기가 괜히 나오는 말은 아니다. 사실 지역의 특산물이 비슷한 우리나라의 사정을 볼 때 답례품 품목이 한정돼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올 수 있다. 그래서 너무 화려한 것만 추구하다면 오히려 탈이 날 수도 있다. 작지만 자신의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오히려 화려함을 이길 수 있는 무기가 될 수도 있다. 깜깜할수록 작은 빛이 더 밝게 보이는 법이다. 

김영민 농업부 기자 kimym@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