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농촌계획학회 학술대회

[한국농어민신문 이병성 기자] 

농촌재생·농촌다움 회복 위해
미래 농촌의 가치 중심
공간계획 원칙 필요 
청년들 농촌 유입 위해 
일자리·거주여건 등 좋아야

농촌진흥청과 한국농촌계획학회가 지난 20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농촌다움과 농촌재생’을 주제로 2022 춘계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누구나 살고 싶은 농촌재생 방안을 다뤘다.

이날 이상문 협성대학교 교수는 ‘농촌다움과 과제’라는 발표 자료에서 농촌재생은 농촌을 지속가능한 경제, 공동체, 환경의 터전으로 되살리는 방안이라고 제언했다. 농촌 내부의 사회경제적 침체와 환경적으로 낙후되고, 도시에 비해 정주 서비스의 불균형 등으로 농촌다움 가치를 지닌 자산이 훼손된 농촌마을을 다시 살리는 사업이다. 이는 농촌지역에 부존하는 자원을 복원과 정비를 통해 새로운 정주 서비스와 기능을 창출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이 교수는 농촌재생의 범위에 대해 “농촌 마을과 인접 읍면 소재지로 공간적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며 “농산업 거점 기능, 농촌 광역자원 개발 등 경제적 재생을 비롯해 공동체 재구축 등 사회적 재생, 농촌마을 정주기반 확충과 주거환경 개선 등 물리적 재생으로 구분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손용훈 서울대 교수는 ‘농촌다움 회복과 살고 싶은 농촌’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미래 농촌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공간계획 원칙이 필요하다”며 “농촌은 도시와 연결된 일터, 삶터, 쉼터로 변화할 것이고 농촌이 지닌 다양한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살고 싶은 농촌이 되기 위해서는 귀농인, 귀촌인, 다지역-순환거주, 그 외 생활자 등 농촌거주자들을 포괄해야 한다”며 “또한 인구 지속성, 정주환경 개선, 농촌경관, 농촌자원, 자연성 보전, 농촌경관 훼손 요소 관리 등을 각 지역의 잠재성에 근거한 농촌다움 방향 설정과 농촌관리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최진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원 연구사는 ‘지역활성화를 위한 농촌재생’이라는 발표에서 “그동안 경관 등 점적 연구에서 공간과 기능을 연계한 종합연구로 전환이 필요하다”며 “따라서 농촌데이터이 수집, 분석 등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과 데이터 등 새로운 정보 기술을 활용한 농촌공간 재생기술 연구 등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진행된 종합토론에서 김경미 농촌진흥청 농업과학원 부장은 “농촌개발 정책이 개량지표로 되어 있는데, 유럽과 미국에서는 질적 평가기준도 논의되고 있다”며 “일본의 사례를 보면 농촌인구, 토지, 마을의 감소로 농촌주민들의 자부심도 낮아지는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를 참고로 농촌공간 계획에서 다루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송태복 농식품부 지역개발과장은 “전국적으로 도로와 교통망 등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상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농촌지역 거주자들은 편안함을 느끼지 못한다”며 “이에 지자체가 필요로 하는 사업 중심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청년들을 농촌으로 유입하기 위해선 일자리와 거주 여건이 좋아야 한다. 농촌계획에서는 소소한 불편한 점들도 간과해선 안된다”고 밝혔다.

이병성 기자 leebs@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