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유통정책 개선’ 연구

[한국농어민신문 김관태 기자] 

빠르게 변하는 유통환경 대응
온라인 확대 기능 구축해야
시설 리모델링 지원하고 
운송·물류 정보 데이터화 필요

수급조절 효과 높이기 위해
취급물량 많이 늘려야 하고
리더 발굴·조직원 관리 병행을

빠르게 변화하는 농산물 유통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산지유통 혁신조직 육성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말 내놓은 최근 ‘생산자조직의 역할 제고와 농산물 유통정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김성우·주재창·하수안) 내용이다. 

연구보고서는 지금까지 통합마케팅조직 육성을 통해 생산자조직의 규모화와 공동출하 활성화 등의 성과를 달성했으나, 전속출하, 품목전문화, 자율적 수급 관리 기능 등이 미흡하고 한계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앞으로 생산자조직은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해 온라인거래 확대, 소비자 맞춤 사업 등을 추진하고 품목전문화를 통한 역량강화, 수급관리 기능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에서 통합마케팅조직 65개소를 대상으로 ‘농산물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을 진행한 결과, 농산물 생산자조직의 72%가 온라인 및 온라인 판매몰을 통해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거나 판매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기존 생산자조직의 단순 유통 기능에서 온라인 유통 확대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구축돼야 하고, 이를 위해 온라인 거래를 위한 시설 리모델링 지원, 산지유통활성화사업에 온라인 거래 평가 점수 신설, 전자태그 부착으로 운송·물류 정보의 데이터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생산자조직 실태 분석에서, 생산자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저해요인으로는 ‘조직화를 위한 구심점 부재’가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참여 농가 간 이해대립 및 무임승차’에 대한 응답 비중이 높아, 조직 육성을 위한 리더의 발굴과 엄격한 내부 규율을 통한 조직원 관리가 병행돼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으며, 생산자조직이 수행해야 할 역할로는 ‘산지규모화’가 24.7%로 가장 높았고, ‘품질제고, 품질균일화’ 21.3%, ‘생산전문화 및 영농환경 개선’이 12.7%로 나타났다. 

산지조직이 수급 조절에 참여하는 부분에 대해선 생산자조직이 산지폐기, 저장량 증대와 같은 수급조절에 참여할 경우 가격 및 공급량에 영향을 주지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생산자조직의 취급물량을 더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산자조직이 자율적으로 수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업이 정착될 때까지 공급과잉이 예상될 경우 일정수준의 가격을 보장하는 생산조정제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김성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산지유통조직이 과거 전통적 역할로만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다. 지금까지는 규모화만 외쳤다면 기존 산지유통조직에 대한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규모화는 하면서도 소비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해 기능을 다양화함으로써 산지유통혁신조직이 조직 단위에서 부가가치를 얻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관태 기자 kimkt@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