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국립동물검역소와 농촌진흥청 수의과학연구소가 통합해 (가칭)국립축산관리원으로 탈바꿈했지만 미완의 개혁이라는 목소리도 업계 일각에서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이는 수의업계의 오랜 숙원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가축질병 관리 및 축산물 위생에 대응할 수 있게 됐지만 명칭 문제에 있어 국립축산관리원으로 명명돼 보건복지부의 식품의약품청에 맞서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는 점 때문이다.농림부에 따르면 국립동물검역소와 수의과학연구소를 통합한 (가칭)국립축산관리원으로 발족됐다는 것. 또 직제도 원장에 수의이사관으로, 각과의 과장급에 수의서기관으로 수의직을 명시했다는 것이다. 이로서 수입축산물에대한 위생검사시 위해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를 발견시 종전의 검역소에서분리후 이를 수의과학연구소로 보내 확인검사를 받아야 하는 등의 절차로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단기일내에 확인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있게 됐다. 또 수의조직이 농림부와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로 분산되어있어 각 기관의 고유기능과 목표관리 및 효율적인 정책추진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나아가 국내 방역과 국제검역 조직의 직접연계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국가방역정책 수립시행이 가능해 졌고 연구개발조직과 기술집행조직의 유기적인 체제구축으로 현장문제에 신속대처가 가능해졌다는 분석이다. 가축방역 부분에 있어서도 국내 방역 및 국제방역업무의 일원화로 가축질병방제 체제의 효율성 증대 및 외래성 질병의효율적인 방제가 가능해 졌다는 것이다.이런 상황에도 불구 일부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은 축산관리원이라는 명칭으로는 자칫 효율적인 축산물위생에 대처하기 어려운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식품의약품안전본부를 청으로확대하며 축산식품 가공업무를 다시 보건복지부로 재이관하려는 기회를 노리고 있어 축산관리원보다는 축산물위생에 초점이 맞춰진 국립축산물위생관리원이나 축산물위생안전원이라는 명칭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특히 현재 명칭으로는 비록 직제상 수의직으로 명시돼 있다 하더라도 축산직으로 복수직이 손쉽게 변경될수도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에 의한 축산물위생관리에 한계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수의업계의 한 관계자는 “두기관의 통합은 축산물위생이 선진국으로 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치”라며 “이를 위해서는 축산관리원보다는 축산물위생관리원등으로 구체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신상돈 기자>발행일 : 98년 2월 26일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