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질 우량축종 육성 · 유기 사료자원 개발을”▲유덕기 교수=국내에 유기축산을 육성·촉진하기 위해서는 축산경영의 전문화와 조직화를 통해 사육단계별 기술수용과 비용절감, 지역성과 연계성을 강화해 양축과 경종의 기술적인 유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국내에 유기축산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에 적응할 수 있는 토종발굴과 유전자원 보존이 시급하고 국가단위 우량종모종 보존과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또한 유기사료 자원 개발을 위해 사료작물 신품종 개발과 유기사료 생산농가 육성 및 유기축산농과의 연계, 답리작 사료작물을 통한 경지이용률 제고 등 국내 사료생산 잠재력 활성화가 시급하다. 축종별 지역의 기후조건을 고려한 한국형 축사설계와 축종별 연령별 행동적 욕구를 고려한 축사밀도 유지 등 환경친화적 사육시설 개발 등도 요구된다. 유기퇴비의 지역별 작물별 적기적량 시용기준 설정 및 분뇨·퇴비 수요원 개발을 위한 환경친화적 가축분뇨 자원화 리사이클링 체계도 개발해야 한다. 제도적으로도 경영내적 리싸이클링 체계 및 농업전방산업과 협력체계 구축, 경영 외적 순환협력체계 구축, 유기축산물 시장 연계성 구축 및 품질인증제도 도입 등 유기축산 전문농가의 내·외적 연계성을 구축해야 한다. 유기축산물 생산·유통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유기축산물 생산자 및 상품 유통조직화, 유기축산물 전문판매점 육성과 품질인증 생산조직 및 단체의 단계적 지원, 유기농산단체의 시장조절 및 유통관리 시스템 개발 등도 요구된다. 이를 위해 유기농축산물 생산, 수송, 가공, 품질인증, 수출입 기준 설정 등 한국유기농업기본규약이 포함된 친환경농업법을 제정해야 한다. ▲이태근 소장=유기축산 정착을 위해서는 수정란 이식이나 유전자가 조작되지 않은 가축이어야 하며 화학비료와 유기사료를 먹여야 한다. 또 항생제, 성장 호르몬을 먹이지 않고 공장형 밀식사육이 아닌 가축의 복지가 고려된 환경에서 사육은 물론 축분으로 환경이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유기축산 정착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지만 지속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이강수 조합장=농림부가 추진중인 유기축산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의 일환으로 유기축산물 품질관리 요령 설정과 유기축산농가 모델 개발, 유기축산물 생산·유통 관리프로그램 개발, 유기사료작물의 생산 가능성에 대한 검토 등이 조기에 이뤄져야 한다. 또한 유기축산의 코덱스 기준에 따른 농가경영의 혁신적인 개선이 불가피하므로 농협과 지역축협을 활용해 대상농가를 설정하고 시·도별 순회교육을 통해 배합사료 사용량을 감축하고 경영방식의 개선을 꾀해야 한다.이영주 기자 leeyj@agrinet.co.kr
이영주leeyj@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