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심찬’ 참여 의지 간데 없고 “정부 지원에 목말라”실제 출발 당시 2∼3년 후면 7∼8조에 달하는 축산물 시장의 10% 가량이 전자상거래 시장으로 편입될 것으로 판단하고 수익모델 개발과 사업확장에 매진했던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도축장 인수와 국내산 지육의 온라인 거래 확대 등에 앞장서 왔던 선발업체 미트마트옥션은 최근 경영난으로 충주 도축장 사업에만 전념키로 하는 등 온라인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한냉을 인수한 아이델리나 안성 육가공공장 착공에 돌입한 드림엑스팜의 경우도 사업 초기 내걸었던 ‘축산물 유통의 온라인화’보다는 전국의 식육판매업소나 축산물 유통업체들과의 오프라인 거래를 통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어 온라인 시장 자체가 와해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마저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자상거래 업체를 통한 유통물량은 전체 축산물 시장의 2∼3%에 불과한 1000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다.이에 따라 관련업계에서는 위기에 봉착한 축산물 전자상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 한 관계자는 “온라인 거래가 회원사를 상대로 한 일부 수입육에 국한돼 있고 국내육의 경우 전자상거래 자체가 힘들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축산물 온라인 거래 확대를 위한 정부나 학계, 업계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특히 전자상거래가 축산물 유통관행인 무자료 거래나 덤핑판매 등을 극복하고 축산물 유통의 선진화 및 투명화를 구현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제도적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또한 축산물 전자상거래의 경우 현재까지 현황이나 문제점, 발전방안 등에 대한 통계자료나 연구보고서, 관련 법규나 제도, 관련 전문가가 없는 것도 시장위축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것.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획관리실장은 “축산물 전자상거래가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은 규격화, 표준화, 물류시스템 등 인프라 구축이 미흡했기 때문이지만 이의 해소를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이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주류의 전자상거래에 대해 세금감면 혜택을 주듯이 축산물 전자상거래에 대해서도 세금감면 등의 혜택을 줘야 조기에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따라서 업계 관계자들은 축산물 전자상거래와 관련 연구기반 확대와 전문가 육성, 자금 및 정책적 지원 등 관련 법규 마련, 생산자나 유통업자, 소비자 대상 홍보활동 강화, 무자료·덤핑판매에 대한 제재조치 강구 및 축산물 전자상거래시 인센티브 부여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미영 기자 kimmy@agrinet.co.kr
한국농어민신문webmaster@agrinet.co.kr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