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이 시민 개인의 취미생활을 넘어 공공기관, 학교와 지역사회, 기업으로 번지고 있다. 도시농업의 날이 제정되는가 하면 국회에서도 텃밭을 가꾼다.

2016년 전국 도시농업 참여자 수는 159만9000명, 텃밭면적 1001ha로 2010년 대비 각각 10.5배, 9.6배 증가했다. 하지만, 도시농업이 발달한 나라들에 비하면 우리의 그것은 절대적으로 적은 규모다. 텃밭 공급량이 적어 원하는 일부 시민만이 참여할 수 있을 뿐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떠들썩한 홍보로 마치 도시농업의 나라인 것처럼 보일 뿐이다.

문제는 도시농업이 벌써부터 관행화 상업화 우려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도시농업은 도시민이 농사체험을 통해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민의 땀방울과 농업의 가치, 환경과 생명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공동체를 복원하며 도농이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지향하는데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기업들은 농사지식이 없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농약, 비료, 상토, 텃밭상자 등 공장에서 만든 투입재 시장을 넓혀가고, 정부와 지자체는 일자리 창출, 도시재생 등을 빌미로 식물공장, 스마트팜을 도시농업이라며 끼워넣고 있는 실정이다. 농업테마공원을 조성한다며 토목 조경업자에게 이익을 주는 일이 다반사다.

도시농업은 사람과 자연의 상생, 사람과 사람의 상생, 도시와 농촌의 상생이라는 본래 가치가 충족될 때 정당성이 담보된다. 그런 점에서 지난 8일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와 농민단체가 ‘도농상생토론회’를 열고 상호 협력을 논의한 것은 의미가 작지 않다. 도시와 농촌은 어느 한 쪽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상호의존적 관계다. 도시농업을 왜곡하지 말고 그 의미를 살려 도시와 농촌 모두 행복한 길을 찾아가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